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요금인상 키 쥔 주총 임박...한전·가스公 ‘운명의 한 주’
빚내서 적자 메우기 반복 부채 눈덩이
발행 채권, 단기자금 시장 교란 부작용
무디스 “추가인상 없으면 신용 부정적”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올 2분기에 적용할 전기 및 가스 요금 결정을 앞두고 이번주에 잇따라 주주총회를 열어 요금 인상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은 도시가스 계량기 모습 [연합]

다음달부터 적용할 전기·가스요금 결정을 앞두고 이번주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 주주총회가 잇따라 열린다. 두 기업 모두 연료비 급등에도 정부의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으로 요금을 제때 인상하지 못해 창립이래 최악의 실적을 낸 상태로 주주들의 집단 소송전도 점쳐진다.

한전은 지난해 32조6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해 1982년 설립이래 최악의 실적을 냈고 가스공사도 사실상 환수가 어려운 민수용 미수금이 지난해 8조 6000억원에 이른다. 가스공사는 미수금 때문에 무배당을 결정하자 소액주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가스공사 소액주주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7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오는 28일 오전 전남 나주 본사에서 주총을 열어 지난해 재무제표와 사외이사 보수 등 주요 안건을 처리한다. 한전은 지난해 32조 6034억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또 한전은 지난해 4분기에만 10조 원 넘는 영업적자를 내며 7개 분기 연속 적자 행진 중이다.

한전이 지난해 구입한 전력구입 평균단가가 1년만에 62.7% 늘어나 키로와트시(㎾h)당 95.35원에서 155.17원으로 폭등했다. 전력단가 상승은 한전의 영업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이에 따라 한전은 지난해 연결 기준 누적 32조603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지난해 정부가 요구한 공공기관 경영정상화 방안에서 한전이 내놓은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오는 2026년까지 재무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누적적자를 해소하려면 올해 전기요금을 ㎾h당 51.6원 올려야 한다. 이 목표액을 달성하려면 2~4분기에도 1분기처럼 ㎾h당 12~13원 수준의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가스공사도 환수가 어려운 민수용 미수금이 2021년 1조 8000억원에서 지난해 8조 6000억원으로 최근 1년새 7조가량이 늘었다. 올해 1분기 미수금은 12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이 폭등했지만 국내 도시가스 요금 인상이 지연되면서 미수금이 쌓이고 있다. 한전과 가스공사가 재정파탄으로 가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가 물가 상승 우려로 억누르고 있는 전기·가스요금을 올리는 게 유일한 해법인 셈이다. 팔면 팔수록 밑지는 구조에서 벗어나야만 경영 정상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추가 요금 인상이 없으면 한전은 차입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한전 신용도에도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빚을 내 적자를 메우다 보니 한전의 부채 규모는 2020년 132조 4752억 원에서 지난해 192조 8047억 원으로 2년 새 45% 넘게 급증했다. 이 과정에서 한전이 발행한 채권이 시중의 돈을 빨아들이며 단기자금 시장을 교란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문제는 물가당국이 올해 초 불거진 ‘난방비 폭탄 사태’ 이후 공공요금 동결을 고집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오는 31일 요금 결정 시한을 앞두고 16일과 17일 요금 인상안을 정부에 제출했지만 물가를 다시 자극할 수 있다고 기획재정부가 난색을 표하고 있다는 것이 관가의 전언이다. 기재부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3월 이후 국제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기 시작했음에도 여론을 의식해 가스요금 조정 기회를 7번이나 외면한 바 있다. 배문숙 기자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