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대해 경제적 지원을 해온 민간단체들이 천안함 사건 이후 사실상 발이 묶였다. 규모가 큰 단체들은 해외에 있는 본사ㆍ지사의 대북지원을 보조하는 역할로나마 맥을 잇고 있지만 대북지원사업에만 주력하던 소규모 단체 중에는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문 닫을 위기에 처한 곳도 속속 나오고 있다.
북한과의 냉기류로 주춤하던 대북지원은 천안함 사건 이후 최소한의 인도적 지원으로만 연명하다 연평도 사건 이후 모든 물자 지원이 끊긴 상태다.
어린이재단은 2009년 육아원 영양식과 위생용품 지원 등에 2억9200여만원, 빵급식지원사업에 1억5525만원, 보건의료 필수품 지원에 7713만원 상당을 들였지만 지난해 천안함 사건 이후로는 보건의료 필수품 지원에 5300만원, 일반병원 개보수 비용으로 9300만원 정도를 지원한게 전부다. 어린이재단 관계자는 “2006년 1차 핵실험 당시와 비교해봐도 천안함 이후 현재까지의 상태가 지난 10년을 통틀어 최악의 상황이 것 같다”고 전했다.
남북나눔운동은 천안함 사건 이후 분유나 이유식 지원 등 어린이 대상 사업만 벌이다 연평도 사건 이후로는 전혀 활동을 못하고 있다. 지난해 50회에 걸쳐 6억8000만원 상당의 대북지원 사업을 벌였지만 이는 예년에 비해 70~80%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정기후원자의 수는 큰 변화가 없지만 일시후원자의 경우는 천안함 사건 이후 전년보다 3000~4000명 정도가 감소했다.
통일부에서 발간한 ‘2010 통일백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민간단체의 개별사업에 남북협력기금을 매칭펀드 방식으로 지원해온 정부는 2009년 8월3일과 10월22일 북한의 취약계층 및 영유아사업에 대해 45억2400만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으나 지난해 6월말 기준으로 26억9400만원만 집행된 상태다.
물자 지원은 물론 방북도 어려워지자 해외에 지부를 둔 단체들은 국제본부 통해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월드비전은 미국에 있는 국제본부의 북한 상황 모니터링을 보조하는 등의 역할에 그치고 있고 기아대책은 미국 국적을 가진 기아봉사단원을 통해 일대일 결연 사업을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북지원 활동만 전문적으로 하는 단체들은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운영비 조차 조달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에 따르면 최근 회원사가 54개에서 50개로 줄었다. 지난달 15일 탈퇴서를 제출한 단체에 이유를 물으니 “대북지원사업이 중단되면서 재정상황이 악화돼 연회비 납부가 어렵다”는 답이 돌아왔다. 북민협 관계자는 “5개 단체에서 탈퇴서를 제출했으나 1곳은 연락이 두절돼 의사를 명확히 확인하기가 어려웠다”며 “연락이 안된 단체는 이미 사라진게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현정ㆍ이태형 기자@boounglove>
kate01@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