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하이 스캔들, 외교관 교육 부족과 잡탕식 인사가 부른 예견된 희극
상하이 스캔들을 계기로 우리 외교관들과 주재원에 대한 교육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변 국가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타 부처 파견 주재원의 비중이 높음에도, 이들이 해외 공관에 나가기 전까지 이수하는 교육 시간은 외교관으로 업무를 수행하는데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26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타 부처 소속 공무원들이 해외 공관에 주재원으로 나가기 전 받는 교육은 짧게는 2주, 길게는 온라인 교육 포함 3주에 불과하다. 해당국의 기본 인사말 같은 언어는 고사하고, 나라를 대표하는 외교관으로써 특별히 익혀야 할 예의나 보안상 유의점, 그 나라의 문화를 익히기에 턱없이 짧은 시간이다.

이는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이웃 일본의 경우 타 부처 소속 공무원을 해외 공관에 주재원으로 파견하기 전 6개월 간 별도 교육을 받게 하고 있다. 미국 역시 국무부 소속 외무연수원에서 최대 2년의 교육 과정을 상시 운영하고 있다. 이 기간동안 미국 외교관들은 기본적인 교양, 리더십 교육 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의 문화와 지리 등도 배운다. 특히 외교관의 필수 항목인 언어의 경우 최저 24주를 이수해야만 한다.

외교부 관계자는 “앞으로 만들어질 외교 아카데미가 외무고시를 대체하는 신입 외교관 선발, 교육 뿐 아니라, 기존 외교관의 재교육, 그리고 주재원들에 대한 교육 기관으로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그러나 근본적으로 절대 인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교육을 위해 오랜 시간 자리를 비워둘 수 없는 현실이 개선되야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외교 담당 부서가 아닌 타 부처 소속 주재원의 비율이 높은 점도 이번 상하이 스캔들을 불러온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 공관의 경우 대사와 참사관 등 일반적 외교 업무를 수행하는 외교부 소속 외교관 외, 정보와 군사, 경제 통상, 영사 업무 등을 위한 주재관들이 많이 있다. 일부 공관의 경우 외교부 출신보다 비 외교부 소속 공무원의 숫자가 2배 이상 많은 곳도 있을 정도다.

한 외교 전문가는 “해당 분야 전문성 확보 및 순혈 주의 타파 등을 위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일한다는 측면에서 장점도 분명히 있다”며 “문제는 이들이 외교관이라는 사명감보다는 해당 부처의 공무원으로 공관 생활을 지나가는 경력 관리 일환으로 생각하기 쉬운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상하이 스캔들 역시, 외교관으로의 사명감과 보안 의식 결여에서 나온 어처구니 없는, 하지만 예견된 사태라는 것이다.

<최정호 기자@blankpress>
choijh@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