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대책 무엇이 문제인가
조율안된 정책 잇따라 쏟아내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시행시기·방법조차도 불투명
DTI규제 강남3구엔 무용지물
전세→매매 실수요자 규제로
전세대란만 다시 키울 우려도
‘3ㆍ22 주택거래 활성화대책’이 거래 활성화의 취지는 퇴색된 채 부동산시장의 혼선만 가중시키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정치권의 사전 조율이 이뤄지지 않은 채 설익은 대책이 공개되면서 시장의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에게 불확실성만 키웠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취득세율 인하, 총부채상환비율(DTI)의 적용 대상과 범위, 분양가상한제 시행 등 3ㆍ22대책의 간판 정책들 가운데 어느 것 하나 확실히 정리된 게 없어서다. 이에 따라 시장은 눈치보기 장세로 접어들며 거래가 급감하고 있다. 역효과만 커지고 있는 셈이다.
▶갈팡질팡 DTI 규제, 시장 혼선 가중=강남3구에 대한 DTI 적용을 둘러싼 금융당국 간 혼선은 그야말로 점입가경이었다. DTI 적용 대상 주택의 범위와 적용 방법이 대책 발표 이후 수시로 변하고 있다.
금융위는 대책을 발표하면서 강남3구(강남ㆍ서초ㆍ송파) 역시 보완책이 적용돼 최대 55%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했지만, 금융감독원은 이후 지난 24일 시중은행에 DTI 관련 공문을 보내면서 강남3구는 원래 규제 비중인 40%가 유지된다며 금융위와 상반되는 의견을 보였다. 이후 두 기관은 촉박하게 업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실무진의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시장의 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못했다. 특히 DTI비율 가산은 시가 6억원 이하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과 구입한 지 3개월 지난 주택(6억원 이상 포함)의 생활자금대출에만 적용된다. 6억원을 넘는 주택을 살 경우에는 기본비율만 적용된다. 결국 이를 두고도 ‘눈 가리고 아웅’ 식의 대책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강남3구 가운데 6억원 이하 아파트의 비율은 전체의 20% 선에 불과해 결국 생색만 낸 대책이 아니냐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정부의‘ 3ㆍ22 거래활성화 방안’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더 증폭시키면서 부동산 거래가 꽁꽁 얼어붙고 있다. 가뜩이나 시장 침체로 거래가 한산한 용인지역에는 정부대책 발표 이후 문의 전화조차 끊겼다. |
이와 관련해 국토부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 폐지가 민간주택 공급의 활성화 효과를 가져온다는 데 대해 당ㆍ정이 합의를 이룬 만큼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야당과 일부 여당 의원은 집값 상승의 원흉이 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고, 여당에서도 부작용을 거론하며 반대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폐지 시점이 불분명해짐에 따라 주택 공급 감소의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원들이 분양가상한제 폐지 시점까지 공급을 미루고 있다.
정부가 지난 22일부터 소급 적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취득세율 인하 방안 적용시점과 시행시기가 불투명해지면서, 거래 자체가 성사되지 않고 있다. 분당 정자동의 H공인 관계자는 “취득세율 인하의 시행 여부, 적용시점, 소급 적용 여부 등이 확정되지 않아 시장은 움직이지 않고 있다”며 “이에 따라 매수자들에게는 매도인과 협의해 잔금 날짜를 미루라고 조언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순식ㆍ김민현 기자/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