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결사? 北 대변인?…주목받는 카터의 ‘訪北 보따리’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26일 평양 방문길에 오른다. 천안함ㆍ연평도, 그리고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 가동으로 팽팽해진 한반도 긴장의 끈을 풀 실마리를 찾겠다는 게 평양 방문의 목적이다.

카터는 25일 베이징에서 작성한 트위터를 통해 “북한과 공식 대화가 중단된 현 시점에서 지역 내 긴장 완화 및 비핵화와 같은 관련 당사국들의 핵심 이슈를 해결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1994년 방북을 통해 남북 정상회담 합의를 이끌어내며 한반도의 전쟁위기를 해결했던 그때 기억을 아직까지 잊지 않고 있는 셈이다.

스스로 ‘해결사’를 자처한 카터의 자신감은 평양 방문길에 동행하는 엘더스 그룹의 아티사리 전 핀란드 대통령의 말에서도 엿볼 수 있다. 그는 “대화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의지와 신뢰가 필요하다. 남북 간 상당 수준의 불신과 의혹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현 대립 상황을 방관하다가는 더 큰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밝혔다. 협상의 필요성은 남북 간 모두 공감하고 있고, 카터와 자신의 방북이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표명이다. 


카터가 평양에서 가져올 성과물에 외교가는 주목하고 있다. 핵개발 포기 및 대남 도발에 대한 사과 메시지를 김정일로부터 받아낸다면 남북대화 및 6자회담은 급물살을 타게 된다. 중국의 왕자루이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양제츠 외교부장,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 등 고위 당국자들이 연이어 방북을 하루 앞둔 카터 일행을 만났다. ‘남북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북미대화→6자회담’을 통한 문제 해결이라는 중국의 입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카터의 방북을 바라보는 냉소적인 시각도 여전히 존재한다. 북한이 과거 행위는 덮어둔 채 무조건 대화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을 카터의 입을 통해 되풀이한다면 카터는 ‘평양 대변인’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외교통상부 한 관계자는 “카터의 방북은 미국이나 우리 정부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무가 아닌, 사적인 활동”이라며 “카터가 발휘할 협상력도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카터 일행의 방북과 25~26일 서울-워싱턴 외교 일정은 공교롭게 겹친다. 워싱턴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국방ㆍ외교 차관보급 2+2회담이, 우다웨이 중국 6자회담 대표가 우리 정부 관계자들을 연이어 만난다. 한반도 대화 국면의 예비 협상, 또는 전초전에서 유리한 국면을 선점하기 위한 한ㆍ미, 북ㆍ중의 신경전 속에서 카터의 방북 결과는 다양하게 해석될 전망이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