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폐목재 대란에 목질자재 공장들 멈춰설 판
수출포장재, 벽재, 가구재 등으로 쓰이는 보드류의 원료인 폐목재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배출량은 줄어드는데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수요처는 늘었기 때문이다. 급기야 보드류 생산 기업들이 폐목재 부족으로 생산시설 일부 가동을 중단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폐목재 발생량은 2004년 237만t에서 2008년 182만t으로 5년 새 23%나 감소했다. 최근 지속되는 건설경기 부진 여파로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목재의 양도 크게 줄었다.

폐목재의 용도는 보드류 제조에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늘어났다. 최근 들어 정부가 기후변화와 고유가 대응을 위해 화석에너지 사용량 저감 대책을 추진하면서 폐목재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 폐목재로 만든 목재칩을 연료로 쓰는 열병합발전소는 전국에 우후죽순 생겨났다. 

보드재 원료로, 목질바이오매스 원료로 용도가 늘어나면서 폐목재가 점점 귀해지고 있다. 수도권의 한 야적장에서 폐목재가 재활용되기 위해 수거되고 있다.
공급이 달리는데 가격이 가만 있을 리 없다. 폐목재값은 지난해 t당 3만원대 초반에서 올들어 4만원대로 30%이상 올랐다. 보드업계와 에너지업계의 자원확보전이 치열해지고 있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는 에너지업계가 기존 시장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폐목재를 사들이면서 보드업계는 원료구득난으로 일부 생산라인을 중단하고 있다.

특히 전력사업자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가 2012년부터 시행되면 에너지업계의 폐목재 싹쓸이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2012년 1월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사업자들은 신재생에너지원을 시행 첫 해 발전량의 2%에서 2020년 최대 10%까지 공급하도록 돼 있다.

설상가상 지식경제부는 폐목재를 연료로 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에 1.5의 공인 가중치까지 부여했다. 즉, 폐목재 등 나무를 이용해 1kwh의 전력을 생산하면 1.5kwh를 생산한 것으로 인정받게 돼 발전사업자들은 폐목재 확보에 더욱 열을 올릴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는 실질적으로 정부가 발전사업자에게 t당 7만원의 보조금 혜택을 주는 것과 다름없다. 폐목재 뿐 아니라 원목까지 사들일 수 있게 돼 목재시장의 수급을 크게 악화시킬 것으로 보드업계는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공장가동을 중단하는 목자재업체도 나오고 있다. 실제 국내 최대 파티클보드 생산업체인 동화기업은 폐목재 부족으로 인천에 있는 3개의 공장 중 1곳은 가동을 영구 중단했다.

동화기업 관계자는 “국내 보드업체들이 생산량 감소와 원가상승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며 생존의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며 “하루 빨리 폐목재 수급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보드류 생산에 필요한 폐목재는 연간 70만t. 국내 자급률은 이의 절반인 35만t에 불과한데 이 중 40% 가 넘는 15만t이 신재생에너지 업계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폐목재 수급안정을 위해 재활용 횟수를 늘리는 방안과 함께 간벌목 등 임지잔재 공급을 늘리는 방안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된다. 건설현장에서 대량 발생하는 1, 2등급의 건설 폐목재는 우선 보드 제조에 재활용하도록 하고, 오염물질이 많은 생활 폐가구는 바로 에너지자원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 발생원별로 폐목재의 사용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질계 바이오매스 발전에 부여하는 가중치를 일반 폐기물에너지 발전과 동일한 수준인 0.5로 낮춰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동시에 재활용 가능한 폐목재가 매립ㆍ소각되지 않도록 폐목재 수거시스템을 보완하고, 간벌 산물인 임지잔재를 자원화해 공급하는 방안도 회자되고 있다.

한국합판보드협회 관계자는 “폐목재 1t으로 파티클보드를 생산했을 때 424kg의 이산화탄소가 저감되나 열병합발전에 사용할 경우 이의 3분의 1가량인 154kg의 저감효과 밖에 없다”면서 “정부는 목재자원의 수요처 확대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보드산업과 신재생에너지산업 모두를 살리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