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 어디까지 왔나
아시아를 아우르는 금융안전망은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체제로 이미 모습을 갖췄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는 한국, 중국, 일본 3개 나라와 홍콩, 아세안(ASEANㆍ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전 회원국을 포괄한다. CMIM 다자화 공동기금 규모는 총 1200억달러에 달한다. 회원국에 외환위기가 발생했을 때 단기 유동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CMIM은 작년 3월 24일 공식 발효됐고, 실질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CMIM 체제를 뒷받침 할 아시아 지역 감시기구인 ‘아세안 거시경제조사기구(AMRO)와 역내 채권발행보증기관인 ‘신용보증투자기구(CGIF)’도 출범한다. 지난 5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44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선 CMIM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위기 발생 후 뿐만 아니라 위기가 발발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지원에 나설 수 있도록 CMIM의 활동 범위를 넓혀가기로 회원국이 합의했다.

CMIM 체제가 지금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그 과정은 험난했다. CMIM에 대한 첫 제안은 무려 13년 전인 1998년 나왔다. 외환위기가 아시아 경제를 뒤흔들자 역내 위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이 필요하다는 합의가 그해 ‘아세안+3(한ㆍ중ㆍ일)’ 정상회의를 통해 도출됐다. 2000년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된 ‘제2차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 ‘치앙마이 이니셔티브’의 골격이 모습을 갖췄다. 하지만 세부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은 더디게만 진행됐다. 2007년에 와서야 기본방향에 대해 회원국이 합의를 이룰 수 있을 정도였다.

급물살을 탄 것은 2008년 세계 경제위기기 발발하면서부터다. 그리고 2년여 논의 끝에 CMI는 2010년 3월 공식 발효되기에 이른다. CMIM 체제에서 그 대상을 줄인 한ㆍ중ㆍ일 3개국으로 좁힌 ‘A3 이니셔티브’가 참고해야할 만한 선례다.

<조현숙 기자 @oreilleneuve>

newear@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