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반기문 UN사무총장 너무 조용한 입국
작년 11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했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9일 9개월 만에 다시 한국을 찾았다.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G20 정상들을 초치했던 지난해 방한에서 그는 조용한 행보로 첫 대형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한국 당사자들에게 음양으로 도움을 주었었다. 이번 방한도 조용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러나 너무 조용하다. 형식은 국빈방문이라는데 도무지 빛이 나지 않았다.
이는 그의 표 나지 않는 원래 성품 때문일지 모른다. 묵묵히 자신에게 주어진 일 처리만 하면 된다는 지론이 한국인 최초 국제기구 수장의 모처럼 방한을 표 안 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본인이 나서지 않는다 해도 정부와 관련 기구, 언론 등이 이처럼 소홀히 다룬다는 게 어딘가 어색해 보인다. 국제적인 안목에서 유엔 사무총장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해서가 아니다. 세계 어디를 가도 국빈 대우를 받는 그 자리 아닌가.
더욱이 그의 이번 방한은 5년의 1차 임기를 무사히 마치고 2차 연임에 성공한 이후 첫 금의환향이다. 명분도 연임에 물심양면으로 도와준 국민과 대통령의 성원에 대한 감사 표시다. 그렇다면 본국의 대접이 너무 소홀하다. 그가 유엔 사무총장 자리에 있음으로 해서 한국이 알게 모르게 받을 긍정적 영향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우선 유엔본부를 비롯한 산하 기구에 한국인이 취업할 기회가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만 해도 어디인가. 우리는 국제기구 근무와는 너무 멀다. 예컨대 국제통화기금(IMF) 직원 총수 2418명 가운데 한국인은 달랑 22명뿐이다. 한국 지분율이 1.345%인데 직원 비율은 0.91%에 그친다. 세계은행에는 한국 지분율이 1%지만 직원은 0.46%에 그친다. 총직원 2687명인 아시아개발은행(ADB)도 지분율이 5%에 달하지만 한국인은 46명, 1.7%에 불과하다. 돈낸 지분율만큼도 찾아먹지 못하고 있다.
반기문 총장의 조용한 귀국과 이를 바로 연결키는 어렵다. 하지만 국내 취업 걱정에 바쁜 젊은이들을 진취적으로 내보내기 위해서도 반 총장은 사표를 삼아 모자랄 게 없다. 하물며 그가 전화 한마디로 각국 정상들과 통화가 가능하다는 점까지 고려하면 좀 더 관심을 보여야 한다. 5박6일간 바쁜 그의 국내 일정이라도 정성껏 국민에게 알리는 지혜가 바람직하다. 세계 진출을 꿈꾸는 젊은이들을 위해서도 그렇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