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바람이 불고 있다. 시대적 조류다. 특히 삼성과 범현대그룹 등이 재계의 리더로서 솔선하는 것이 눈에 띈다. 이들 뒤에 나머지 대기업의 동참 속도도 빨라질 것이다. 이제는 대기업들의 모임인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반박 주장이나 하고 기업별로 로비 대상을 지정해줄 게 아니라 앞장서야 할 처지다. 시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제단체는 있으나 마나다.
우선 삼성전자는 협력업체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육성하는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본격 가동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모두 29곳의 지원 대상 후보업체 선정을 마쳤다. 2015년까지 이 프로그램을 통해 모두 50개의 협력업체를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키워낼 계획이지만 잘된다 해도 솔직히 미약한 느낌이다. 이 정도로는 사회적 비판을 피하려는 꼼수 아닌가 비난받기 십상이다. 보다 과감하려면 총수가 총대를 메고 나서야 한다.
범현대가는 오너들이 출연한 사재를 중심으로 5000억원 규모의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한다. 현대중공업그룹을 비롯 KCC, 현대해상, 현대백화점, 현대산업개발 등이 참여하며 16일 사회복지법인 형태의 재단 설립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단비 같은 소식이다. ‘아산나눔재단’은 다른 대기업그룹 부설 재단과 달리 오너들이 내놓은 사재가 기본 재원이 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과거 재벌 오너들이 검찰 수사를 받거나 도덕적 위기에 몰리면 국면 전환용으로 기업 주식이나 돈을 내놓는 복지사업 및 기부행위와는 차원이 다르다. 특히 현대그룹 창립자인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나라 사랑과 기업가 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의 10주기에 맞춰 설립한 복지재단이라는 점도 의미가 크다. 다만 현대차와 현정은 회장이 주도하는 현대상선그룹이 빠진 것은 석연치 않다.
삼성전자와 범현대가의 이 같은 활동이 다른 대기업들에도 좋은 선례가 될 줄 믿는다. 기업의 사회 기여가 정치적 압력이나 여론에 떠밀린 수동적 일회성 이벤트여선 의미가 없다. 자발적, 전략적,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정성 있게 추진돼야 비로소 진정한 효과가 나타난다. 국내외 경제여건이 어려운 줄 안다. 그러나 국내 양극화 현상과 이를 둘러싼 이념 투쟁은 첨예화하고 있다. 자본주의 자체가 의심받는 정도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 전에 대기업들이 나눔경영에 보다 앞장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