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전 산업자원부 차관 등 현 정부 실력자와 고위 공직자, 방송사 간부가 광범위하게 연루된 씨앤케이(C&K)의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 관련 의혹은 온통 비상식 투성이다. 지금까지의 정황만 봐도 주가 조작과 내부자 거래의 전형으로 야릇한 권력형 비리 냄새가 짙다. 우선은 철저한 감사원 감사로 공직자 연루와 비리 탈법을 가려내되 궁극적으로 사법적 규명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른바 ‘다이아몬드 스캔들’의 핵심적 의혹은 여러 정황들이 대부분 사회적 통념 및 상식과 너무 동떨어져 있다는 것이다. 외교통상부의 이해할 수 없는 처신이 대표적이다. 외교부는 지난 연말 뜬금없이 한 민간개발회사의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 획득을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해외자원 개발사업은 민간업체가 직접 맡거나 최소한 자원개발 주무부서인 지식경제부가 관장하는 것이 관례다. 그런데 왜 외교부가 민간업체의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에 직접 홍보까지 하며 그토록 나섰는지 국민들은 도대체 영문을 알 수 없다.
더욱이 이 사업 교섭에 깊이 간여한 것으로 알려진 고위 공직자가 현 정부의 실력자로 알려진 점, 외교관 출신의 전 고위 공직자가 이 민간개발업체에 고용돼 있는 점, 공중파 방송의 고위 간부가 거액의 융자까지 얻으며 이 회사에 무리하게 투자한 점 등도 일반의 상식에 벗어난다.
매장량 추정 근거도 의혹을 더하는 대목이다. 우선 그 규모가 세계 총 매장량의 2.5배에 이른다는 것부터 수상하다. 게다가 외교부는 당초 유엔 공식 보고서를 매장량 추정 근거로 제시했으나 개발업체 자체 탐사보고서 자료로 판명된 것이다. 주가 조작과 내부자 거래 가능성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외교부 보도자료가 나간 이후 이 회사의 주가는 17일 만에 무려 5배로 올랐다. 그 바람에 싼 값에 미리 주식을 대량 취득한 연루 인사들은 수백억원의 차익을 얻었다는 풍문도 들린다. 의혹이 의혹을 낳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사건이 ‘다이아몬드 스캔들’이 아닌 ‘다이아몬드 게이트’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당사자들은 사실과 다르다고 펄쩍 뛰지만 부인한다고 끝날 일이 아니다.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검찰이 신속히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 더욱이 권력과 연루된 의혹은 정권의 레임덕을 앞당기게 마련이다. 정권 실세들이 연루된 사안일수록 의혹을 단호히 규명해야 사회의 기강이 바로 서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