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노총인 국민노동조합총연맹(국민노총)이 2일 고용노동부에 설립신고서를 제출, 금명간 공식 활동에 나선다. 국민노총은 출범선언문에서 ‘정치ㆍ이념 투쟁을 배격하고 노사 상생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생산성 향상’을 표방, 국내 노동계에 ‘새바람’을 일으킬지 주목된다. 이로써 지난 1995년 이후 계속된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양강 구도는 ‘3두 마차’ 시대를 열었다.
국민노총 규모는 당초 예상보다 작다. 지방공기업연맹ㆍ교원노조ㆍ도시철도산업노조 등 6개 산별노조의 100여개 단위노조 조합원 3만여명이 가입했다. 한국노총 조합원 74만명, 민주노총의 58만명에 턱없이 모자란다. 하지만 ‘탈(脫)이념, 실용추구’ 강령은 노동운동의 대안세력이 되기에 충분하다. 기업 발전의 주축으로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는 ‘국민과 함께하는 노동운동’ 선언은 분명 기존 한국노총 및 민주노총 노선과 다르다. 복수노조 시대에 편승, 약속대로 이념 편향적인 강성 투쟁 대신 실제 노사 상생을 구현한다면 제1 노총 도약도 불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국민노총이 국민 지지를 받으려면 우선 ‘부자 노조’ 오명부터 털어내야 한다. 참여 노조의 상당수가 고용이 안정되고 고액 연봉을 받고 있다는 시샘으로 일축해서는 안 된다. 이럴수록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근로자 등 소외 노동계층의 이익 대변에 적극 나서야 한다. 겉으로는 양극화 해소를 위한 소통 중시를 외치면서 되레 밥그릇 지키기에 급급하면 ‘어용’이란 굴레와 함께 퇴출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 최대 독립노조이면서 아직 국민노총에 합류하지 않은 한국중공업ㆍKT노조 등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라도 온건ㆍ합리적 정체성을 확실히 보여줘야 한다.
기존 양대 노총은 성찰과 변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툭하면 벌이는 파업, 반대를 위한 이념투쟁, 특권의식 등을 접고 기업 발전과 조합원 복지 증진이란 본연의 노동운동에 전념하기 바란다. 노조 조직률이 어느새 20% 선에서 10%로 줄어들고, 왜 노총 탈퇴가 잇따르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조합원을 위하는 척하면서 조합 간부들의 입신을 위한 ‘직업 노동귀족’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성폭행, 채용비리, 조합비 유용 등 고질적 도덕적 해이도 하루빨리 청산해야 한다.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언제 국민노총한테 주도권을 넘겨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