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지수 개편 꼼수 대신 ‘착한가게’ 포상을
올겨울은 물가 냉기로 어느 해보다 혹독한 추위에 떨어야 할 것 같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올 들어 처음 3%대로 낮아졌다는 통계청 발표와 달리 전ㆍ월세값과 고춧가루ㆍ소금ㆍ쌀 등 생필품값, 이ㆍ미용료 등이 수직 상승한 탓이다. 여기다 시내버스ㆍ고속도로 통행료ㆍKTXㆍ가스요금 인상이 예고됐고 지역난방요금ㆍ전기료 현실화도 대기 중이다. 미국 더블딥(이중침체)과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환율불안까지 겹쳐 저성장-고물가의 스태그플레이션 조짐도 뚜렷하다.

올해 물가억제목표 4%선 달성은 이미 물 건너갔다. 지난달까지 평균 4.4% 오른 소비자물가는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벌써 3개월째 연속 두 자릿수 상승한 수입물가가 가공식품 가격인상으로 이어지는 데다 천정부지의 기름값과 각종 교통요금 상승은 물류비와 개인서비스요금을 더 끌어올릴 게 분명하다. 이대로라면 소비자물가 5%대 진입도 배제하기 어렵다.

정부는 물가조사 품목에서 금반지를 빼는 식의 지수 개편 꼼수를 부리지만 정도가 아니다. 물가안정의 근원적 처방에 나서야 한다. 리터당 2000원을 훌쩍 넘은 휘발유값은 정유사ㆍ주유소 행정지도만 갖고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인위적 가격통제 대신 일정기간 유류세 인하가 불가피하다. 또 신용카드 수수료만 낮춰도 기름값은 리터당 100원 이상 떨어진다.

농축수산물의 유통단계 축소는 더 치밀해져야 한다. 사전 예약을 통한 직거래와 정보공개 확대, 유통구조 효율화 등에 여전히 틈은 없는지 보다 꼼꼼히 살피기 바란다. 공급 부족이 예상되는 품목은 미리미리 수입하고 비축물자를 먼저 푸는 선제적 조처가 필요하다. 공공요금 또한 임금인상 억제 등 공기업 경영합리화로 인상폭을 최소화하고 인상시기를 분산하면 효과가 클 것이다.

과도한 가격거품 해소를 범국민운동으로 추진할 수도 있다. 종업원 대신 셀프서비스를 통한 ‘칼국수 2000원’, 새벽시장 발품으로 10년째 ‘냉면 4000원’, 손님이 머리를 스스로 감는 ‘이발비 5000원’ 등 행정안전부 선정 ‘착한 가게’를 널리 홍보하고 포상해야 한다. 각종 공과금 면제 등 실질 혜택을 줘 격려할 수도 있다. 해외 위탁생산과 유통혁명으로 판매가격을 확 낮춘 이마트 TV 또한 마찬가지다. 각 지자체는 ‘착한 가게’ 지원을 더 늘리고 소비자들은 가격거품이 심한 품목에 대해 불매운동으로 맞설 필요가 있다. 소비자들이 스스로 소비자 주권을 찾아야 한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