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새책>한강, ‘희랍어 시간’...언어의 안과 밖에 선 경계인
노벨상 수상작가 르 클레지오로부터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연약함을 증언”하는 한국의 주목할 만한 젊은 작가로 지목된 소설가 한강(41)이 굵직한 소설 한 편을 냈다. 

나를 형성하는 언어, 나를 증언하는 언어가 사라진 자리에 존재는 어떻게 드러나는지 롱 샷으로 보여주는 ‘희랍어시간’(문학동네)은 차라리 한 장의 흑백 사진처럼 읽힌다.

한 남자와 한 여자가 있다. 남자는 시력을 잃어가는 중이다. 그가 강의 하는 것은 고대의 죽은 말 희랍어. 강의실 한 쪽엔 온통 검은색으로 치장한 여자가 가늘게 웅크리고 앉아 있다. 바짝 여윈 여자는 남자의 눈을 바라보지만 그 너머를 응시하고 있는 것도 같다. 여자의 눈은 텅 비어 있다가 순간 무엇가를 잡아채며 순간 흔들리기도 한다. 입술을 달싹거리지만 말이 되어 나오진 않는다.

빛과 공기, 움직임이 하나로 응축되는 순간, 블랙홀처럼 빨아들여 시공을 이탈하는 결정적 순간처럼 농밀함이 한 컷 한 컷으로 진행된다.

여자는 대학과 예술고등학교에서 문학을 강의해 왔다. 그러다 ‘그것이 다시 왔다’ 아무 말도 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것은 원인도 전조도 없다.

반년 전 어머니를 여의고 수년 전 이혼, 세 차례 소송 끝에 아홉 살 난 아들의 양육권을 잃고 그 후유증으로 불면증을 앓고 있긴 하다.

여자에게 말을 못하는 건 2차적 병증이 아니다. 말 자체가 병의 실체다. 여자는 오래 전 언어로 고통을 받아왔다. 자신이 내뱉는 단어들이 스스로 꿈틀거리며 낯선 문장을 만들어내고 꼬챙이 같은 언어들이 잠을 뚫고 들어와 달군 쇠처럼 명치를 찔러대다 언어가 달아난 것이다.

열일곱 살 여자아이는 물밑에서 수면 밖을 바라보는 어른어른한 고요 속에서 두 해를 보내다 낯선 불어 단어와 만나면서 다시 입이 트인다.

20년 만에 다시 찾아온 ‘그것’은 처음 것과 다르다. 첫 번째 침묵이 출생 이전의 자궁 같은 것이었다면 다시 찾아온 침묵은 죽음 뒤의 것처럼 느껴진다.


남자는 열다섯 살에 독일로 이민을 간다. 의사는 그가 마흔을 넘기지 못해 실명할 거라 말한다. 남자는 거기서 늘 주머니에 네거티브 필름조각을 갖고 다니며 태양에 비춰보길 좋아하는 여자를 만난다. 여자의 포즈는 그가 한국을 떠나오기 전 사찰 연등회에서 만난 먹빛 어둠을 두툼하게 밝히던 연등과 함께 강렬한 한 컷으로 남는다. 보는 것과 말하는 것이 없어진 뒤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저자는 침전돼 있는 환한 기억의 덩어리들을 하나하나 끄집어 올린다.

작가의 주인공들은 거대한 세계에 견줘 한없이 취약해 보인다. 그 세계와 연결돼 있는 언어는 생생한 칼날과 같다. 알아가는 게 연결되는 게 무섭다. 침묵은 그래서 세계에 대한 연약한 인간의 저항기제이자 견딤이다.

문학평론가 이소연 씨는 “작가는 언어가 몸을 갖추기 이전에 존재하던 것들-흔적, 이미지, 감촉, 정념으로 이뤄진 세계로 우리를 데려간다. 신생의 언어와 사멸해가는 언어가 만나 몸을 비벼대는 찰나, 우리는 아득한 기원의 세계로 돌아가 그곳에 동결해둔 인간의 아픔과 희열을 발견한다”고 평했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