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공유제 채택을 둘러싼 동반성장위원회의 파행적 내부 갈등이 도를 넘고 있다. 출범 1주년을 자축하고 성과를 낼 것으로 믿었던 지난 13일의 동반성장위 본회의는 대기업 측 위원 9명 전원 불참 보이콧이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파국을 맞았다. 이익공유제는 시장 원리에 반할뿐더러 사회적 합의 도출이 되지 않았는데도 정운찬 위원장이 제도 도입을 기정사실화한다는 것이 전경련과 대기업 측 불참 이유다.
우선 정 위원장 등 동반성장위 측의 무성의, 다시 말해 이해와 소통, 합의정신의 부족을 탓 할 수밖에 없다. 너무 성급하게 몰아치다 이런 결과를 빚었으니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그러나 전경련과 대기업 위원들의 이날 집단 불참석 행동은 국격과 기업품격에 반하는 것이다. 입에 맞지 않는다고 밥상 뒤엎는 격 아닌가. 이에 분개, “교체되지 않는 무소불위의 대기업 권력을 누군가는 비판해야 한다”며 대기업 총수들을 정조준한 정 위원장의 험구도 마찬가지다. 어린아이들 싸움 같지 않은가.
일단 동반성장 취지 시행의 중도하차는 안 된다. 이는 신자유주의가 빚은 폐해 시대를 사는 시대적 조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양극화 현상은 축소해야 할 과제다. 부의 극단적 차별이 경제난을 더욱 부추기는 원인이 된다면 상생의 불씨는 살려놓고 봐야 한다. 그렇다면 단계적 접근이 더 바람직하다. 정 위원장 역시 학자적 아집은 없었는지 되돌아보고 유연함을 보이기 바란다. 목표를 미리 설정하고 꿰어맞추려니 대기업 쪽에서 ‘들러리’ 타령이 나오는 것을 감안, 전경련과 대기업 국민 모두 소중한 바이어 다루듯 하라는 것이다. 대기업도 동반성장위도 혹여 임기 말 현상에 편승, 대충 넘기겠다는 발상은 가당치 않다.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으로 독자생존 길을 찾아야 하고, 대기업은 더 이상 갑의 위치를 향유하겠다는 생각을 버리는 게 시급하다. 현재 협력업체 역할과 평가는 대기업의 고유권한이다. 납품단가를 후려치는 초법적 횡포의 원인이다. 초과이익공유가 시기적으로 지나치면 대기업이 선호하는 성과공유제와의 혼합형도 생각할 수 있다. 협력사의 자기희생을 전제로 이를 수용하고, 기존 종업원 대상 보상제도의 외연을 확대한다는 경영철학만 있으면 수용 못할 것도 없다. 빌 게이츠, 워런 버핏 등 세계적 부자들의 천문학적 기부 역시 사회 안정으로 기업경영을 잘하기 위한 경영기법의 일환임을 간과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