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혹한기 대정전, 당근과 채찍 정책을
전력수급 상황이 살얼음판이다. 고리원자력발전소 3호기 등 수리와 고장 핑계의 가동중단 발전소가 연달아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전력수요 자제가 잘되고 있는 것도 아니다. 겨울철 전력난 완화대책에 따라 2월 말까지 전국 5만8000여 곳의 상업ㆍ교육용 건물에선 난방온도를 20도 이하로 유지토록 했지만 지켜지는 곳은 별로 없다. 대기업, 대형빌딩, 대형업소 등 아직 딴청을 부리는 곳이 많은 데다 일반 상인들조차 나 몰라라 하는 모습이 많아 보인다. 이래선 안 된다. 더 긴장하지 않으면 미국 LA가 겪은 것처럼 전국이 불랙아웃 사태를 당할지 모른다.

현재 전국 전력공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원전 21기 중 네댓 곳이 주요 설비 노후화로 가동중단된 상태고, 사흘에 한 번꼴로 사고가 발생, 원전강국의 체면을 크게 구겼다. 게다가 화력발전소 몇 곳도 가동이 오락가락하면서 울산산업단지의 정전사태를 가져왔다는 지적 등 에너지 위기는 코앞에 와 있다. 이러다 자칫 ‘9ㆍ15 일부정전사태’가 재연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이때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한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장 등을 예방하는 안전위라기보다 진흥위에 가깝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게 우리의 현주소다.

기온 1도 하락 시 60만KW 소비가 더 늘어날 경우 영하 10도가 되면 예비전력은 고갈된다. 기온 급강하가 예상되는 내년 1월 2~3주가 바야흐로 위기구간이다. 혹한기 대정전은 사람은 물론 통신ㆍ금융ㆍ교통ㆍ국방 등 전 분야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런데도 상가밀집지역에선 온풍기가 펑펑 돌아가는 등 정신을 못 차린 상태다. 최근 열흘간의 ‘10% 강제절전운동’에도 불구, 전력사용량은 되레 작년보다 늘었다. 국민들의 의식구조 변화가 시급하다. 제철소, 반도체 등 풀가동이 불가피한 사업장 이외 여타 대기업들은 이런 때 협조정신을 최대한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경제가 발전하는 한 전력사용 증가는 불가피하고, 꾸준한 공급이 필요하다. 원전사고가 잦다고 해서 이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다. 우리 원전기술은 현재 세계적인 수준이다. 2년 전 UAE 신규 원전 수주에 이어 또 다른 블루오션인 원전 리모델링 사업 진출이 유망해졌다. 원전강국답게 대정전 대비태세까지 갖춘다면 금상첨화다. 행동지침과 에너지 절감에 대한 교육을 당장 실시하고, 예비군과 민방위 교육에도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정전수칙 집행 결과에 따른 당근과 채찍 정책이 적절히 실시되기 바란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