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주변의 불미스런 사건에 대한 검찰의 미지근한 수사가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방통위 정책보좌관을 지낸 정용욱 씨가 구속 중인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이사장으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받았다는 의혹에 초점이 모아진다. 정 씨는 최 위원장의 양아들로 불릴 만큼 핵심 측근으로 꼽힌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당초 직제에도 없는 정책보좌관 자리를 만들어 그를 앉혔을 때부터 구설수에 올랐던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의혹의 눈길이 최 위원장 본인에게까지 쏠리는 것은 당연하다. 정 씨가 받은 뇌물이 과연 어느 선까지 흘러들어 갔느냐 하는 것이 핵심이다. 정 씨가 그와 통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연줄이었고, 방통위 민원 대부분이 정 씨를 거쳐 이뤄졌다는 점에서 공연한 까탈은 아닌 듯하다. 사건이 불거지면서 방통위 주변에서 “마침내 터질 게 터졌다”며 긴장감이 나돈다는 얘기도 그간의 사정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문제가 터지자 최 위원장은 검찰 수사과정에서 모든 의혹이 가려질 것이라며 관련성을 부인했지만 정황은 그리 간단치가 않아 보인다. 그동안 감싸고 돌던 측근 인사의 비리에 대해 ‘윗선’으로서 도의적 책임이 있는 데다 본인도 일련의 사건 전개 과정과 관련이 전혀 없다고는 주장할 수 없는 입장이다. 정 씨가 해외로 도피했다고 검찰이나 최 위원장이 뭉갤 일이 아니다.
검찰은 일단 수사에 착수한 만큼 주춤거리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이번만은 제대로 진상을 밝힘으로써 검찰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최근의 디도스 사건이나 이상득 의원 보좌관 사건처럼 아랫선에서 적당히 꼬리 자르기로 마무리 짓는다면 국민들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정권 실세들과 관련된 사안마다 스스로의 한계를 드러내 그동안 들어왔던 ‘정권의 시녀’라는 오명을 확실히 벗어야 한다.
최 위원장이 이명박 대통령의 멘토로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해 왔다는 점에서도 의혹은 철저히 해소돼야 한다. 가뜩이나 이 대통령의 친인척과 권력층의 측근 비리가 연달아 불거져 레임덕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는데 이마저 주춤해선 안 된다. 행여 정권에 대한 부담을 줄이려고 어물어물 넘어가려 든다면 오히려 문제의 불씨를 키울 수 있다. 최 위원장 본인과 방통위의 명예를 위해서도 엄격한 수사가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