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룬의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끌어들인 씨앤케이(CNK) 주가조작 사건은 생각할수록 알쏭달쏭하다. 감사원의 조사에 이어 검찰이 CNK 본사와 관련자들의 자택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본격 수사에 들어갔지만 의혹이 제기된 지 1년이 지나도록 방치한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 이명박 정부 외교정책 대표 브랜드였던 자원외교가 이처럼 허술하게 이뤄졌다는 점도 국민들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
일단 외교통상부의 김은석 에너지자원 대사가 깊이 관련된 것만은 틀림없어 보인다. 다이아몬드 매장량이 터무니없이 부풀려진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직접 언론 브리핑을 한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그의 동생과 측근들이 이 회사 주식을 적잖이 보유하거나 거래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정황은 충분하다. 특히 그의 비서는 사무실 행정전화로 뻔질나게 증권사와 통화하고 주식을 사고팔았다니 평소 외교부 근무 태도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이 간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곁가지다. 더 큰 문제는 과연 어떤 인물들이 배후에서 김 대사를 움직였느냐 하는 점이다. 그가 상장 폐지에 직면해 있던 CNK 오덕균 대표에게 넘어가 혼자서 주물렀다고는 믿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지난 2010년 경제통상사절단장 자격으로 카메룬을 방문해 현지 정부 관계자들과 접촉했던 박영준 당시 지식경제부 차관에게 의혹의 눈총이 쏠릴 수밖에 없다. 이 회사의 고문을 지낸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 역시 의혹에서 벗어나기는 어렵다.
검찰 수사는 우선 총리실과 외교통상부가 관계기관의 면밀한 검토나 확인 없이 CNK의 제출 자료만을 근거로 이 사업을 에너지 협력외교 대상에 포함시킨 과정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또한 카메룬 정부와 언론들도 다이아몬드 추정 매장량에 의심을 제기했지만 현지 공관이 묵살한 배경도 철저히 가려내야 한다.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처음 의혹이 제기되면서 청와대가 자체 조사를 벌이다 슬그머니 접어버렸다는 점이다. 또 다른 정치권 실세들의 개입 여부를 주시하는 까닭이다. 의혹은 이미 단순한 주가조작이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거래의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 정부 발표를 믿었다 피해를 본 투자자들은 집단소송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사기극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검찰 수사는 엄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