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의 남북이산가족 상봉 제안에 북한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사망 후 첫 생일(16일)에 맞춰 ‘대원수’ 칭호 부여, 보은 승진인사 등 떠들썩하면서도 정작 남북 대화 제의는 애써 외면하는 듯하다. 물밑 접촉 없이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엊그제 돌연 제안, 북으로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할지 모른다. 그러나 북한이 최근 고구려 고분군 병충해 방제지원 협의를 위한 실무접촉 제안을 거부했던 점으로 미뤄볼 때 이는 고의성이 다분하다.
물론 MB정부 들어 꼬일 대로 꼬인 남북관계를 감안하면 쉽지는 않을 것이다.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이후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도발 등이 이어지면서 대화는 거의 막혀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나마 두 차례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진 것은 요행이라 볼 수 있다. 지난해 말 김정일 사망에 따른 조문 갈등으로 북측은 한국에 대해 ‘역적패당’ 등의 험구를 불사, 우리 측과는 “상종도 않겠다”는 선언까지 했다. 게다가 김정은 북한 당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은 어제 천안함 폭침 주범격인 김영철을 상장(중장급)에서 대장으로 진급까지 시켰다. 일종의 대남과시를 하는 모습이다. 북한 탈출 주민 체포조 2000여명이 2인1조로 중국에서 위장 암약하고, 중국은 체포된 주민들의 북한 송환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포기할 수 없는 게 남북 간의 소통이다. 일단 정부가 개성공단 설비반출의 재개를 허용함으로써 연평도 포격도발 때문에 빚어진 대북 교류 및 경협 중단을 담은 5ㆍ24조치를 사실상 해제한 것은 다행이다. 미ㆍ중, 북ㆍ미 관계 등을 고려하고 북한의 떼쓰기를 약화시키기 위해서라도 최소한의 지원조치 재개는 필요하다. 더욱이 이산가족문제는 인도주의 차원에서 접근할 때 북한이 마냥 거부할 명분이 없다. 이산가족 상봉은 무엇보다 시간이 없다. 지난해 말 현재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로 등록된 13만명 중 37.2%인 4만8000여명이 이미 세상을 떠났다. 생존해 있는 8만여명 중에서도 80대 이상 고령 이산가족이 44%에 달한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의 표현대로 이산가족은 ‘분단 이재민’이다. 이들의 한을 풀어주는 것은 인간적인 도리다. 북한은 우리 적십자사 총재의 제안을 거부해선 안 된다. 마지막 상봉이 1년여 전인 점을 감안할 때 시기적으로도 더 늦출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