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北의 허장성세, 자신들만 모르는 사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15일 김일성 주석의 100회 생일을 맞아 선군정치와 사회주의 강성국가 건설의 목표 달성을 다시금 천명했다. 그는 연설에서 “어제의 약소국이 당당한 정치군사 강국으로 전변됐으며 우리 인민은 그 누구도 감히 건드릴 수 없는 자주적 인민으로 존엄 떨치고 있다”고 강변했다. 이날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인민군 육ㆍ해ㆍ공군을 비롯한 노농적위대, 붉은청년근위대의 대규모 열병식을 통해 북한은 김정은 시대 개막을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지난해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직후 최고사령관 직을 승계한 그가 지난 며칠 사이에 노동당 제1비서 및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연달아 추대됨으로써 당·군·정을 모두 장악하고 권력승계를 마무리 지은 시점이라는 점도 그러한 추측을 뒷받침한다. 이날의 행사가 이례적으로 조선중앙TV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실황 중계됐다고 한다.

우려되는 것은 이처럼 강성국가 체제가 공고화될수록 남북한 사이에는 물론 주변국들과의 군사적 긴장관계가 더욱 깊어질 것이라는 사실이다. 지난 13일 국제사회의 집중된 경고를 무시하고 감행한 ‘광명성 3호’의 발사도 그러한 사례다. 김정은의 권력승계를 마무리하면서 내부 결속을 강화하려는 의도에서 감행된 시도였다. 일단은 로켓 발사가 실패로 돌아간 만큼 북한의 대내외 이미지가 타격을 받은 것만은 틀림없다. 하지만 북한의 도발과 모험이 그 정도에서 간단히 끝나지는 않을 것이다. 로켓 발사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추가적인 미사일 발사나 3차 핵실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열병식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으로 추정되는 신형 장거리 미사일이 처음 공개됐다는 사실도 예사롭지 않다. 연평도 포격과 같은 국지적인 대남 도발 가능성도 크다. 우리 정부의 다각적인 대응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이날 김정은 제1비서는 “시련을 이겨내며 당을 충직하게 받들어온 인민이 다시는 허리띠를 조이지 않고 사회주의 부귀영화를 마음껏 누리게 하겠다”고 다짐했으나 실천적인 방안은 내놓지 못했다. 오히려 로켓 발사에 북한 주민들의 1년치 식량을 조달할 수 있는 1조원의 비용만 날렸다. 미국의 식량지원 방침도 끝내 철회되고 말았다. 얻은 것은 없고 손실만 막급한 대물림 허장성세가 씁쓸할 따름이다. 북한의 기이한 세습 권력승계에 공연히 한숨만 나오는 이유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