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장용동 대기자의 부동산 프리즘> 건설주택업계의 3차 시련기
부동산경기 장기 침체
저축銀 퇴출 엎친데 덮친격
100위권 기업도 경영난

건설업체만 6만여개 난립
국민경제 부실 아킬레스
先구조조정 조기매듭 시급
대·중기 동반성장 모색도


건설주택업계의 부도 및 퇴출 공포감이 도지고 있다. 부동산경기 장기 침체, 공공공사 발주 기근 등 내부적 경영 환경 악화에 이어 부실 저축은행 퇴출 등 외부적 악재가 잇따라 터져나온 데 따른 것이다. 시공 능력 100위권 내 건설사 중 이미 경영난에 봉착,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및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업체만도 22개사에 이른다. 중견 및 중소 건설사들의 부도 공포는 더욱 심각하다.

일감이 없고, 그나마 남지 않는 적자 공사투성이다. 게다가 저축은행 퇴출 파문이 겹치면서 자금 수혈창구마저 막혀 백척간두에 서 있다. 건설 50년사에서 많은 건설사가 명멸하고 그 자리를 새로운 기업이 대신해왔다.

1970년대 산업의 젖줄 역할을 해온 해외 건설이 80년대 급전직하로 떨어지면서 35개 건설사들이 대거 구조조정된 1차 시련기나, 90년대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우성건설 등 대형 주택건설사들이 몰락한 2차 시련기의 사례가 이를 말해준다. 이런 면에서 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가져온 건설주택위기는 3차 시련기라 할 수 있다.

문제는 과거 1, 2차에 비해 글로벌 경제 환경의 입김이 커졌고, 이로 인해 우리의 자구 노력이 상대적으로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는 조기 수습이 어려움을 의미한다. 시드 머니로 강제 합병했던 1차 시련기나, 과감한 희생 퇴출로 위기를 벗어난 2차 시련기와는 사뭇 다르다는 얘기다.

MB정부는 5ㆍ10 대책을 포함해 17차례에 걸쳐 전ㆍ월세 등 부동산 대책을 쏟아냈으나 특별한 효험을 보지 못했다. 업계는 4년 내내 부도에 시달리며 비상경영 상태이고, 건설 수주는 목 타는 바닥이다. 부동산은 브레이크 없는 추락 속에 거래 불통이다.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던 기업들의 정상화는 투자자 유치나 경기 회복 등 두 갈래 상황 극복에서 가능하다. 투자 유치로 빚잔치를 끝내고 재생의 길을 가든가, 아니면 경기 회복으로 사업물량이 많아지고 자산 가치가 높아져야 한다.

외환위기 이후 현대건설이 부도에서 살아남은 이유는 간단하다. 영업력을 대폭 강화해 수주물량을 대폭 늘리고 외환위기로 급락한 미분양 아파트 등 자산가치가 국가신인도 회복 및 경기 활황세를 타고 수십조원대로 급등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환경은 두 가지 길 모두 여의치 않다.

최근 건설, 주택 관련 연구소들이 내놓고 있는 것처럼 건설복지, 청약 규제, 세제 혜택 등의 수술만 가지고는 더욱 어렵다. 시장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한 새 시대의 정책 및 경영 환경이 필요하다.

최우선적으로 과감한 업계 구조조정을 조기에 매듭지어야 한다. 현재 업계는 난립 그 자체다. 전문 건설업체가 4만여개, 일반 건설업체만도 1만2000개에 달한다.

여기에 업역이 중첩되는 주택건설사가 7000여개에 이르고 있다. 지난 80년대 400여개사에 불과하던 일반 건설업체가 면허 개방 바람을 타고 90년대 들어 10배 정도 증가한 4500개 수준, 2000년대 들어서는 1만3000개로 재차 3배가량 증가했다. 시장 규모 증가를 감안해도 이 같은 업체 난립은 국민경제와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기는커녕 되레 부실 아킬레스다.

과감한 구조조정을 시급히 단행해야 고름이 번지지 않아 우량기업이 산다. 정부는 구조조정을 앞당기고 경쟁력 있는 기업이 살아나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개혁적으로 손질해야 한다. 예컨대 일본처럼 주택건설은 과감히 주택 전문업체 업역으로 넘기고 대형 업체는 자금, 개발, 인프라 측면만 담당하는 업역 조정 검토가 필요하다.

대ㆍ중ㆍ소 업체가 상생과 동반 성장하기 위한 대안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지구촌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 일감 창출이다. 핵안보정상회의, G20회의, 한류 바람 등을 통해 우리의 개발 경험을 요구하는 저개발국가가 급증하고 있다. 몽골은 도시계획법, 토지보상법 자체를 만들어 달라고 요구할 정도다.

아프리카를 비롯해 중남미 등의 다수 국가에서 신도시 경험과 관련 제도, 법규 등의 요구가 빗발친다. 업계에서 직접 용역 비용을 부담해 이들 국가의 기본 소프트웨어를 짜주는 거시적 대안은 미래 건설일감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경기부침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고, 우는 아이 떡 하나 주는 식의 천수답 경영으로는 21세기를 살아갈 수 없다. 업계와 정부의 보다 근원적 고민이 필요한 때다.

ch100@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