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헤지펀드 이슈로 한동안 금융업계가 시끄러웠다. 최근에는 다소 잠잠해지나 싶더니만 출범 6개월 성적표를 놓고 여기저기서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그만큼 민감하고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일 것이다. 앞으로도 관련 논의는 다양한 측면에서 더욱 본격화 될 것이라고 본다. 특히 규제 수준을 놓고 기관과 규제당국 사이의 열띤 공방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에는 금융연구원, 금융투자협회에서도 규제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진입장벽을 낮추고 유연한 펀드 운용을 보장하라는 것이 골자다. 해외펀드들과의 경쟁력을 고려했을 때 지나친 규제가 성장에 발목을 잡을 수 있고, 펀드매니저들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약하는 요소들을 완화시켜야 한국 금융의 선진화를 앞당길 수 있다는 이러한 논리에는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다만 규제완화의 시기를 놓고서는 의견이 다양할 수 있다고 본다. 국내 정서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 금융업계의 윤리성과 도덕성이 아직까지는 범국민적인 신뢰와 지지를 받을 정도는 아니다. 오히려 일부 탐욕스런 자본에 대한 반감은 금융위기를 겪으며 업계 전반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다. 운용인력들의 윤리의식 회복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다.
투자 전문가들의 윤리성 회복이 중요한 이유는 금융업계가 지닌 ‘위기예측에 대한 태생적인 불완전성’에서도 찾을 수 있다. JP모건 사태가 좋은 사례다.
JP모건은 1990년대 중반 리스크 매트릭스(Risk Metrics)라는 위험관리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명성을 떨쳤다 이들의 위기관리지표 (VaR; Value at Risk)는 금융시장의 대표적인 위험관리지표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JP모건은 결과적으로 금융위기 당시 은행권에 나타난 막대한 손실을 예측하는데 실패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 20억 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파생상품 손실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 즉, 그 어떤 뛰어난 전문가라고 해도 위기를 완벽하게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투자 전문가들의 기본적인 윤리의식과 도덕성의 중요성은 바로 이 지점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사실 금융업계 내부에서도 전문가들의 윤리성 강화에 대한 자발적인 문제제기는 엄연히 존재 해 왔다. CFA협회(국제공인재무분석사협회)가 대표적이다.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CFA협회는 전세계 130개국에 10만 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58개국에서 135개의 관계 단체와 교류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투자전문가들이 금융산업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50가지 실행세칙을 만들어 공표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최근 업계 전문가들과 학계를 중심으로 투자 전문가들과 운용사들이 도덕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신호다. 이는 비단 헤지펀드에만 국한된 사항은 아닐 것이다. 한국 금융산업은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철저한 윤리의식과 도덕성을 배양한 전문가들이 금융 시장을 리드하면서 긍정적인 성장과 도약의 에너지를 불어 넣어야 한다.
CFA협회가 지난해 전세계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현재 금융업계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당면과제는 금융기관의 잘못된 상품판매, 내부거래와 같은 부도덕한 관행을 끊는 것이다. 우리보다 몇 배나 금융산업이 발달한 미국이나 영국, 홍콩, 싱가포르와 같은 국가들도 마찬가지라고 하니 이제 막 선진 금융의 문을 두드리고 있는 우리 금융업계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윤현준 CFA한국협회 부회장 (現 FnGuide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