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대선 경선이 끝내 ‘반쪽’으로 기정사실화하고 말았다. 완전국민경선을 주장해 온 이재오ㆍ정몽준 의원이 9일 경선불참을 선언한 결과다. 물론 불참한 두 의원으로 인해 새누리당의 대선 경선이 반쪽이라고 단정하는 것에 무리가 없지는 않다. 다만 비박(非朴) 대표주자격인 이들이 참여 자체를 거부하는 경선이라면 우선 모양새가 온전하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집권여당의 대선 경선이 축제분위기를 탈 수 없는 정치적 상황이 씁쓸하다는 내부 볼멘소리가 그 방증이다.
새누리당의 대선 경선은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경선 참여로 가닥을 잡은 김문수 경기지사, 김태호 의원,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안상수 전 인천시장 등 5파전 양상을 띠게 됐다. 경선 룰은 당원 대 국민 비율이 5대 5인 기존 룰 그대로 하기로 결정하고 10일부터 3일간 후보등록을 받는다고 한다. 기왕 이렇게 된 바에는 경선 참여자들이라도 오로지 국민만 보고 완주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문제는 일반의 시선이다. 이미 경선 룰을 둘러싼 오랜 신경전은 짜증을 불러오기에 충분했다. 옳고 그름을 떠나 대화와 소통이 없었다는 것부터가 한계였던 셈이다. 물론 기존 룰로 경합해 쓴잔을 마셨던 박 전 위원장으로선 억울한 점이 클 것이다. 반대로 이재오 의원은 그 룰로 대선승리까지 이끌었다. 상식적으로도 불참자의 요구에 훨씬 무리가 있어 보였다. 더구나 말이 국민완전참여이지 취지가 굴절되고 왜곡될 소지가 얼마든지 있다. 누구보다도 이 의원의 경우 진정 대권의지가 있었다면 경선 참여가 더 순리적이었다. 대승적 차원에서 경선 참여를 택한 김 지사가 더 커 보이는 이유다.
박 전 위원장은 캠프 구성을 완료한 데 이어 10일 출정식까지 가졌다. 친박 진영이 경선 불참사태를 일부 불미스런 일로 애써 의미를 축소하려든다면 득 될 것은 없다. 캠프 구성 면면에 의구심이 적지않은 터다. 박 전 위원장이 출마 선언 직후 지방 순회 길에 올랐지만 ‘불통’이나 ‘고집’ 등 비난의 뒷자리는 그대로 남겨 둔 상태다.
무엇보다 등 돌린 비주류에다 흥행 없는 경선 가능성이 앞길에 가로놓였다. 멀리 있는 적보다 지척의 불협화음이 때론 더 위협적일 수 있다. 민주통합당은 예비후보자 7명이 전국을 돌며 바람몰이에 나서고 경우에 따라선 장외유력주자인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의 최종경합 이벤트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내 꿈이 이뤄지는 나라’라는 슬로건이 현실화하기엔 박 전 위원장 진영의 과제가 결코 만만찮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