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을 금융기관 대표들이 터키 증권업협회를 방문한 적이 있었다. 일정 중간중간에 대표들은 스마트폰으로 회사에서 온 e-메일과 문자를 확인하며 업무를 봤다. 가는 곳 마다 우리 일행을 보면 “코리아! 갱냄 스따일”을 외치는 터키 청년들 앞에서, 손에는 한국산 스마트폰을 들고 광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부심을 누렸다. 다만 50대 중반 이상 사장님들 상당수는 전화와 문자 서비스 등 기본 기능 외에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활용도가 높지 않아 보였다. 스마트폰을 통해 SNS를 체크하고 사진을 올려대는 신세대 ‘흉내질’은 필자 혼자만 한 듯하다.
하지만 놀란 것은 일행 대부분이 최근 유행하는 카카오톡은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단순 문자 대화만 하는 게 아니라 짬을 내 메신저와 연결된 게임을 하곤 했다. SNS는 스마트폰을 통해 하지 않지만, 메신저 게임은 열심히 한다는 얘기다. 직원들이 보내준 게임 아이템을 이용해 즐거워하면서, 젊은 친구들보다 점수를 더 올리기 위해 열심히 게임을 한다. 사실 필자는 SNS 과다 사용자로서 피로를 느껴 모바일 메신저에 연동되는 게임은 해 볼 엄두를 못 내고 있었다. 결국 돌아오는 귀국길 공항에서 애니팡과 드래곤 플라이트 같은 유행 게임을 다운 받아 직원들과 함께 즐기기 시작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나는 주변에 단언했다. 스마트폰으로 SNS는 안해도 카카오톡은 하는 50대 이상의 중장년층 현상을 감안 한다면, 대선에서 분명 기존 SNS보다 모바일 전용 메신저의 영향력이 상당히 클 수 있다는 것이었다.
같은 메신저상에서도 1대1 대화보다는 동질성을 나누는 그룹 채팅이 위력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자기의 의견을 일방적으로 뿌리고, 부정확한 정보가 넘쳐나는 트위터와는 다른 소통 혁신이다. 대화 상대방과의 친밀도가 높은 페이스북은 괜찮은 편이지만, 집단 지성을 통해 문제를 걸러낼 수 있다는 트위터는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며 사용자들의 회의와 피로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집단’은 있는데 ‘지성’은 안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중장년층조차 쉽게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주식투자 부문에서도 모바일 시스템(MTS)을 통한 주문 비중이 부쩍 늘어나는 추세다. 작년 초 개인의 주식 거래대금 중 10% 수준이었던 MTS 주문은 작년 12월 15%로 급증했다. 과당경쟁 탓에 증권사들은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신규 투자를 위한 비용 부담만 늘었지만 어쩔 수 없는 형국이다. 전화 주문의 경우 수수료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증권사 수익 측면에서는 MTS보다 긍정적이지만, 증권회사 콜센터를 통해 들어오는 전화 주문 비중도 하락 추세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컴퓨터 마우스를 클릭하는 과거의 손가락 혁명은, 이제는 중장년층이 스마트폰 액정 화면을 눌러대는 새로운 손가락 혁명으로 발전했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풍부한 중년들의 손가락은 투자금융업계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다. 증권 관련뿐 아니라 모바일과 관련된 모든 산업은 총체적인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원해야 할 부문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