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세 동점 시기가 있었다. 17세기에 시작된 과학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19세기에는 서양의 문명이 동양을 압도했다. 한ㆍ중ㆍ일 삼국은 발전된 과학기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지만 그 방법이 달랐고, 그 과학기술 때문에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후진국 신세를 면치 못했다. 선진국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 중에 하나가 과학기술의 발전 정도이다. 우리나라는 여러가지 면에서 세계 10등 정도의 국가다. 완전한 선진국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은 것이 우리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국민 대다수가 문맹인 상태에서 독립을 했지만 ‘과학입국 기술자립’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 정책과 사명감을 가진 과학기술자들을 바탕으로 유례 없는 발전과 산업고도화를 이뤘다. 서양에서 수입한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했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추격하는 입장으로는 앞으로 더 나아가기가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선도하는 입장으로 바뀌어야 할 때가 된 셈이다. 이에 맞춘 변화가 필요하다. 25일 출범한 새로운 정부의 최우선 정책은 창조경제로의 변화이며 이를 과학기술과 상상력을 접목시켜 달성할 것이라고 천명하고 있다.
과학기술자들이 일하는 방식도 이에 따라서 같이 변화해야 한다. 과거의 과학기술에 대한 국가적 수요는 아직 발전하지 못한 산업에 기술을 제공하는 것으로 빨리빨리 선진기술을 습득해서 개량하는 것이 중요했다. 창의력보다는 성실함이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산업체의 기술역량이 고도로 발전한 현 시점에서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학기술 수요는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미래를 선도하기 위한 연구는 장기적이고 불투명하다. 10년 정도 한 주제에 몰입하고 경험을 쌓아야 그 분야에서 창의적인 업적이 가능할 정도다. 이제 우리나라도 제대로 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선 과학기술자들이 돈과 유행을 쫓아다니기보다 자신이 독자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주제를 잡고 지속적인 연구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제의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연구개발을 위한 정부예산을 안정적으로 받는 정부출연연구소의 경우 자기의 임무와 분야에서 국가 사회에 가장 필요한 큰 주제를 잡고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미래에 대한 전망과 예측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과학기술자들은 전문가로서 다가올 중요한 도전들을 예측하고 사회에 제시해야 한다. 많은 논의 과정에서 잊지 말아야 할 일은 이러한 연구가 우리 국민, 더 나아가서는 우리 인류에 보탬이 됨을 확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연구를 위한 연구가 개인의 만족을 위한 일이라면, 나라의 큰 주제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좀 더 공익적인 목적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사회는 과학기술이 위기를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핵심 요소임을 이해하고, 따라서 과학기술자들을 신뢰하게 될 것이다. 호기심, 조직화된 회의, 인내심, 자긍심과 명예욕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자들이 전통적인 덕목들을 다시 한 번 곱씹으며 사회의 새로운 요구에 부응하여 창조경제로 우리나라를 도약시켜 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