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진주의료원 자구노력 전제로 살려야
진주의료원 사태 해결 실마리가 엿보인다. 지방자치단체 문제라 개입할 수 없다던 정부와 여당이 나서면서 미세하나마 상황 변화를 보인 것이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10일 진주의료원을 방문, “의료원을 정상화해 지방공공의료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한 것이 계기가 됐다. 또 새누리당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진주의료원의 공공성은 계속 유지돼야 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강경 일변도의 홍준표 경남지사도 진 장관과 비공개 면담 이후 한 걸음 물러선 듯한 모습이라고 한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그나마 당장 파국은 면한 듯해 다행이다.

진주의료원은 매년 수십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그 누적 규모가 280억원에 이르는데도 경영개선 여지가 없다는 게 폐업을 강행하려는 이유다. 더욱이 노조가 경영개선을 위한 외부 경영진단조차 거부해 더 이상 유지가 어렵다는 것이다. 물론 지방의료원은 취약계층에 저렴한 비용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의료기관으로 영리목적의 일반 병원과는 기본적으로 성격이 다르다. 전국 34개 시ㆍ도립 병원 가운데 흑자를 내는 곳이 거의 없는 것은 이런 까닭이다. 그러나 공공의료기관이라고 무턱대고 세금에 기대 운영한다는 생각은 옳지 않다. 경영진과 직원들은 구조조정과 의료 서비스 향상 등 경영개선을 위한 뼈를 깎는 노력을 하고 그래도 모자라는 부분은 지원을 받는 게 순서다.

2010년부터 경영이 흑자로 돌아선 김천의료원은 공익성과 수익성을 함께 살린 좋은 사례다. 처음에는 진주의료원과 처지가 비슷했지만 원장을 포함한 전 직원이 월급의 일부를 자진 반납하며 회생의 발판을 마련했다. 적자가 나면 정부가 메워주겠거니 하며 방만한 경영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누구라도 홍 지사와 같은 결정을 할 것이다. 병원 수익이야 어찌됐든 직원 가족의 의료비를 90%씩 감면해주면서 적자를 보전해 달라는 데 선뜻 응할 수는 없는 일이다. 진주의료원이 이 지경에 이른 데는 노조의 책임이 크다는 것이다.

진주의료원은 공공의료 시설이 부족한 현실을 감안해 어떤 형태로든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영개선을 위한 강력한 구조조정이 전제돼야 한다. 시장 논리로 접근하자는 것이 아니다. 지금처럼 수입 전액이 인건비밖에 안 되는 경영 구조로는 어렵게 회생시켜도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노조가 이에 동참한다는 약속을 분명히 해야 한다. 방만한 경영은 지방의료원 문제만이 아니다. 공기업을 포함한 모든 공공기관에 해당되는 사안이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