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상읽기 - 정재욱> 지지율의 기술적 반등
박 대통령 지지율이 일단 반전하기 시작했다. 기술적 반등일 뿐이다. 공공기관 인사에 낙하산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것은 폭락의 징조다. 인사로 인한 실망 매물이 더 쏟아지면 회복은 영영 불가능하다.




기술적 반등이란 용어가 있다. 주가가 일정 폭 이상 떨어지면 특별한 재료 없이도 어느 정도 회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과학적이랄 수는 없지만 심리적 요인까지 반영하기에 주식시장에서는 여전히 유효한 분석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시장 상황을 봐도 그렇다. 4월 들어 코스피지수는 엔저 여파에 북한 리스크가 겹치면서 6거래일 연속해서 하락하는 약세국면을 이어갔다. 이 때문에 2000을 넘나들던 주가도 1900선을 위협할 정도로 떨어졌다. 그러나 북한이 외국인들은 철수하라고 윽박지른 9일부터 주가는 되레 반등을 시작했다. 엔저 현상이 개선된 것도 아니고, 남북 상황에 긍정적 변화도 없었다. 단지 주가가 빠질 만큼 빠졌다는 것이 재료일 뿐이다. 이럴 때 증권 전문가들은 ‘낙폭 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이라고 시황 설명을 한다.

박근혜 정부 지지율이 연일 급전직하다. 취임 초반 한 달이 지난 시점의 지지율이 40% 초반으로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낮다. 같은 시기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이 70%를 웃돌았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60%가 넘었다. 인기가 없었다는 이명박 전 대통령도 50%를 상회했다. 역대 최다 득표율로 당선된 박 대통령이고 보면 체감 낙폭은 더 크게 느껴진다.

그런데 4월 들어서며 하락세가 일단 멈추고 미세하나마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한다. 특별히 지지율을 반전시킬 만한 재료는 없었다. 새 정부 출범 전부터 불거진 인사 난맥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자질문제로 그 정점을 치닫고 있다. 야심차게 제시했던 창조경제는 개념조차 아직 모호하다. 북한에 대한 박 대통령의 단호한 대처를 반등 요인으로 보기도 하나 이 역시 기존 대북 정책 기조에 따른 대응일 뿐이다. 그렇다면 ‘낙폭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으로밖에 설명할 방법이 없다.

박 대통령에 대한 세간의 실망감이 적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반 토막 난 지지율이 그 징표로 연속된 악재가 투매를 불러온 것이다. 일각에서는 애초부터 고평가된 거품이 이제 빠지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그런지도 모른다. 일찍이 권력의 양면성을 보아 왔기에 그 양지를 충분히 살려갈 것이란 기대감은 권위와 불통과 독선의 이미지로 변하고 있다. ‘대전은요?’ ‘참 나쁜 대통령’ 등 핵심을 관통한 단문형 문답은 콘텐츠 부족이었다는 지적도 있다. ‘여성 대통령’ 자체만으로도 엄청난 개혁이라고 했지만 여성 대통령이기에 그나마 이 정도로 넘어가는 것이란 비아냥까지 들린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취임한 지 불과 50일도 지나지 않았다. 주가 등락에 일희일비하는 투자는 실패하기 십상이다. 조금은 길고 느긋하게 봐야 목표한 수익을 거둘 수 있다. 다만 기술적 반등 뒤에 낙폭이 다시 커지면 회복할 재간이 없다. 지지율 반전을 모색하려면 인사로 꼬인 실타래 먼저 풀어야 한다. 우선 수첩부터 버리고 폭넓게 인재를 구해야 한다. 막 시작된 공공기관 인사에 낙하산의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것은 폭락의 징조다. 여기서 실망 매물이 쏟아지면 돌이킬 수 없는 나락으로 빠져든다. 투자자가 떠난 뒤 아무리 좋은 재료를 내놔도 주가는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지금 다시 시작해도 전혀 늦지 않았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