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대규모 지진, 우리는 안전지대인가
중국 쓰촨(四川)성에서 규모 7.0의 강진이 일어나 180여명이 사망하고 1만100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파괴된 가옥만 해도 1만여채에 이른다고 한다. 수색·구조작업이 진행되면서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5년 전에도 대지진으로 8만6000명의 희생자를 냈던 쓰촨 지역 주민들로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이 아닐 수 없다.

문제는 이런 대형 지진으로 인한 재난이 강 건너 불구경만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쓰촨 성보다 하루 뒤인 21일 전남 신안군 근처에서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했다. 4초 정도 지진이 지속되었지만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바닷속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흑산도에서나 창문이 흔들릴 정도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국내에서 올 들어 일어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일 뿐 아니라 역대 6번째로 강한 규모였다니 긴장감을 감출 수가 없다. 더욱이 지난해 9월에도 같은 진앙지에서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우려를 키우는 것은 같은 날 일본 남쪽 해역과 대만 근처 해역에서도 연쇄적으로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이다. 진앙지가 육지에서 한참 벗어난 덕분에 쓰나미 등의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다고 하더라도 이처럼 동북아 일대 지역에서 연달아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것은 자연의 경고나 다름없다. 지난달에도 대만 중부지역에서 지진이 일어나 인명피해는 물론 철도 운행이 중단된 데다 산업시설 피해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품 생산이 차질을 빚은 바 있다.

2년 전 일본 도호쿠 대지진에서 목격했듯이 인구 밀집지역에 지진이 닥치면 상상을 초월한 엄청난 피해가 불가피하다. 당시 쓰나미에 원전사태까지 겹치는 바람에 2만여명의 사망ㆍ실종자와 33만명에 이르는 이재민 피해를 초래했다. 그 후유증은 지금도 치유되지 않고 있다. 2008년의 쓰촨 성 지진 때도 지역경제 기반이 크게 훼손되는 등 간쑤(甘肅)성, 산시(陝西)성 등 인접지역에 걸쳐 8400억위안(1300억달러)의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

국내에서도 지금은 지진 발생 가능성을 감안해 건축물을 지을 때 방진설계를 강화하는 등 나름대로 대비책이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아파트 공사에서 철근을 빼돌리거나 심지어 신축된 국회 의원회관에서조차 잦은 하자보수 공사로 부실의혹이 제기되는 마당이고 보면 은근히 미심쩍어진다. 막상 지진사태가 벌어졌을 경우의 대피 방안도 강구돼야 한다.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는 어디에도 없다. 자연재해를 인력으로 막아낼 수는 없지만 철저히 대비하면 피해는 얼마든지 줄일 수 있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