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 포럼 - 장만석> 퇴직자들의 행복한 일자리 찾기
창업이나 귀농에 성공한 퇴직자들이 말하는 성공요인은 철저한 사전준비다. 따라서 퇴직자 일자리 대책의 출발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제공이어야 한다. 인적 네트워크 등 상세한 안내정보가 필요하다.



60세 이상 실직자가 2011년 280만명, 2012년에는 310만명으로 늘어가는 추세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평균 80세에 이른다. 그래서 대부분의 퇴직자는 퇴직 후 재취업을 원할 수밖에 없고, 정부는 노인층을 위한 대책을 일자리 위주로 전환되지 않으면 안 되는 시점에 왔다.

그런데 경험과 기술을 가진 퇴직자들은 중소기업의 인력난으로 관련 분야의 재취업에 성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일반 퇴직자들은 재취업이 쉽지 않다. 퇴직자나 실직자들에게 일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각종 일자리 제공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부분 단기간의 일자리다. 재취업을 위한 기술훈련사업도 한정된 인원에 그치고 있다.

그래서 퇴직자들 중 상당수는 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한 음식점 등 자영업을 생각하게 된다. 울산의 경우만 보더라도 인구 120만명에 음식점은 1만3000개나 된다. 인구 100명당 음식점이 하나로 과잉상태다. 최근 5년간 매년 3800개 업소가 창업되고 있으나 전체 음식점 수는 변함이 없다. 매년 창업되는 만큼 폐업이 되고 있는 셈이다. 또 퇴직자들 상당수는 귀농을 꿈꾸지만, 귀농 후 농지 확보나 시설투자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작물 선택이나 영농기술을 배우기도 힘들다.

물론 창업이나 귀농에 성공한 퇴직자도 많다. 이들이 말하는 성공요인은 철저한 사전준비다.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힘들었다는 이야기도 한다. 따라서 퇴직자 일자리 대책의 출발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제공이어야 할 것 같다. 일자리 유형, 성공요소, 실패 가능성, 초기투자비와 적응시간, 조언이 가능한 인적 네트워크 등 상세한 안내정보가 필요하다.

퇴직자들이 연구 모임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해주는 것도 방법이다. 연구모임이 활성화되면 경험과 아이디어가 결집됨으로써 지역사회기여 활동이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안정된 직업창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울산에는 대기업 임원급 퇴직 공장장들 약 100여명이 모임(NCN)을 결성하여 울산시 산업발전 정책 참여, 중소기업 경영 자문, 중고등학생들의 진로 등에 대한 멘토 역할을 하는 등 사회 지도자층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형공장 유독물질 관리전문가들의 퇴직자 모임이 활성화되면 사실상 사각 지대로 있는 소규모 유독물질 취급공장들에 기술 자문도 가능할 것이다.

농업도 정부 차원에서 좀 더 쉽게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다면 퇴직자들의 일자리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정부가 유휴농지를 임대해 시설단지를 조성하고, 귀농인들은 초기 일정기간 시설을 임대하는 농업시설임대단지 방식을 고려해볼 만하다.

이렇게 되면 귀농인들은 저비용으로 초년부터 수익이 가능한 농사를 할 수 있고 농업기술센터와 같은 전문기관의 현장 기술 지도가 가능해 좀 더 쉽게 농촌에 정착할 수 있을 것이다. 말하자면 농업인 인큐베이터를 만들자는 것이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