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이제 분노의 정치 끝내자는 親盧인사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난 지 4주년이다. 23일을 전후로 그의 고향이자 묘소가 안장된 경남 김해 봉하마을을 중심으로 추모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탈상을 넘은 세월에도 고인에 대한 이미지, 또 그가 남긴 족적에 대한 각별한 인식은 정치권이나 일반인이나 그다지 변함없어 보인다.

다양한 정치권의 반응 중에서도 새누리당이 고인의 명복을 공식적으로 빌고 유가족들에게도 애도를 표한 것이 눈길을 끈다. 특히 노 전 대통령이 생전에 지역주의 타파 등 통합의 정치를 구현하기 위해 애썼다는 평가와 함께 최경환 원내대표와 이정현 청와대 정무수석이 나란히 추모행사에 참석한 것은 높이 평가할 일이다. 더구나 이 수석은 논란에 선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제창해 눈길을 끌었다.

민주당은 강물은 바다를 포기하지 않듯이 바다는 어떤 강물도 마다하지 않는다며 노 전 대통령이 꿈꿨던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분열과 대립이 아닌 더 큰 민주당이 돼 앞으로 나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치적 명운을 함께 해 온 민주당으로선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통합진보당도 진보정의당도 나름의 애도를 표하고 저마다 정치적 결의를 다졌다. 모두 합당한 언사다. 그러나 정작 가장 귀를 열고 들어야 할 것은 친노그룹 핵심 인사들의 목소리가 아닌가 싶다. 노 대통령 시절 비서실장을 역임한 이병완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노 전 대통령은 파당이나 계보를 갖고 정치하지 않았다. 그것은 노무현 정신이 아니다”라고 일갈했다. 19일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추모문화제에서 일부 친노 지지자들로부터 봉변을 당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당연한 지적이다.

원칙과 상식, 사람 사는 세상을 원한 것이 노무현 정신이 맞는다면 이론과 현실이 워낙 배치되는 경우가 왕왕 있어 온 게 사실이다. 더 솔깃한 것은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인 김경수 봉하마을 사업본부장의 자기반성이다. 그는 “가치로서의 ‘친노’는 앞으로 계속되겠지만, 정치세력으로서의 친노는 이제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총선과 대선에서 모두 패하고도 패권주의와 파벌주의로 몸살을 앓은 민주당이 먼저 깊이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다. 최근 정치일선에서 퇴조한 친노세력은 더 당연하다.

정치권은 이런 자기반성을 내 것으로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버릴 것이 적지 않지만 소통을 중시하고 특권을 배격하는 등 노 전 대통령이 지향한 바는 시대정신과 부합하기에 청와대는 물론 야야 모두가 실천해야 할 덕목이라는 생각이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