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문이불여일견이라 했는데, 우리 교단에서는 여전히 역사는 책 안에만 있다. 선사시대의 유적이 있는 서울 암사동을 찾아보고, 동네 주변의 정릉ㆍ선릉은 누구의 묘인지 직접 찾아가 탐구토록 해 스스로 역사의 흥미를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고 했다. 과거의 경험을 교훈삼아 오늘에 매진할 때 미래가 열릴 수 있다는 그의 가르침은 시대 불변의 진리다. 때문에 역사를 알고, 알리는 일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특히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이 심각한 수위에 이르고 있는 반면, 한국의 미래를 짊어질 우리 청소년의 역사인식은 바닥 수준이라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어쩌면 우리 시대의 가장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때를 같이해 박근혜정부는 한국사 교육 강화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대입 전형에 어떤 방식으로든 국사 과목을 반영하기로 하고 4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안, 한국사 표준화 시험을 도입하고 대입 자격과 연계하는 방안, 대입 전형 자료에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결과를 활용하는 방안, 한국사 표준화 시험을 시행하는 방안 등이다. 여당과 정부는 이달 말까지 여론수렴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도출해 내겠다는 각오다.
하지만 한국인이라면 누구라도 환영해야 할 이 같은 움직임에 반발 기류가 거세다.
한국사를 대입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면 입시교육이 대세인 우리나라 현실을 감안할 때 빠른 기간에 가장 큰 성과를 거둘 수 있겠지만 수험생의 입시 부담을 늘리고 사교육을 부채질하는 등의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지적이 대표적이다. 국사 교육을 입시에 연계할 경우 역사교육 자체가 주입식·암기식으로 흐를 공산이 크다는 점도 반대 이유로 꼽힌다. 일각에서는 음모론까지 제기하고 있다. 정부의 한국사 교육 강화 움직임이 이명박정부 이래 최근 몇 년간 전개돼온 수구보수 진영의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보수화 작업과 맞물려 있다는 주장이다.
과거와 오늘, 미래를 바로세우고 알리는 일, ‘역사교육’에 이런 잡음이 들린다면 섣불리 결론을 내릴 게 아니다. 당정의 역사교육 강화 방안은 사실 그 배경에는 공감할 수 있을지라도 방법론에 있어서는 성급히 추진하고 있는 면이 없지 않다. 새로운 제도와 틀을 만들기에 앞서 현행 교육방식에 문제는 없는지, 국사교육을 내실화할 방안은 없는지 찾아보는 게 우선됐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현행 국사교육 방식의 문제를 꼬집지 않을 수 없다. 집중수업제를 채택하는 일선 학교에서는 중고등학교 1~3학년간 진행해야 할 수업을 한 학년, 또는 한 학기 내 집중적으로 수업해 학생에게 흥미를 잃게 하고 있다. 고대사에서 조선사에 이르는 광대한 역사를 한 학기에 시험범위로 정하고 있는 학교도 없지 않다. 이런 역사교육이 계속된다면 학생에게 역사는 골칫거리로 기억될 수밖에 없다.
백문이불여일견이라 했는데, 우리 교단에서는 여전히 역사는 책 안에만 있다. 선사시대의 유적이 있는 서울 암사동을 찾아보고, 동네 주변의 정릉ㆍ선릉은 누구의 묘인지 직접 찾아가 탐구토록 해 스스로 역사의 흥미를 갖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사 교육을 대입 전형에 연계하더라도 현행 국사 교육 방식을 지속한다면 우리나라와 민족에는 더이상 미래가 없다는 점을 정부는 부디 깨닫기 바란다.
i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