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홍길용> 민주당의 비(非)민주
헌정 이후 우리 집권여당에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가 ‘민주’다. 2공화국은 민주당, 3ㆍ4공화국은 민주공화당, 5공화국은 민주정의당, 6공화국은 민주자유당이다. 김대중정부 때 집권당도 새천년민주당이었으니 5차례 정권이 모두 ‘민주’를 애용한 셈이다. 시민혁명으로 수립된 2공화국이나 군사독재인 4ㆍ5공화국의 집권당이 모두 ‘민주’를 사용한 점은 아이러니다.

하지만 김영삼정부 이후 보수정당은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등으로 ‘민주’에서 벗어났다. 덕분에 ‘민주’는 오롯이 진보정당의 몫이 됐다. 요즘도 민주당이 민주주의 회복을 기치로 내걸고 있으니 ‘민주’에 충실한 듯 보인다.

그런데 정작 속을 들여다보면 민주당의 ‘민주’는 어색하다.

민주당 당대표의 권한은 어마어마하다. 당3역 가운데 원내대표를 제외한 정책위의장과 사무총장 지명권을 가지며, 예산편성과 선거공천권을 갖는다. 새누리당 당대표의 권한은 당직자 추천권이다. 주요한 당무 결정은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 민주당 대표가 ‘총통’이 아니라면, 새누리당 대표가 ‘허수아비’일 것이다.

최근 민주당은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에게 ‘지역구 활동을 중단하고 국회에 24시간 대기하라’고 당명을 하달했다. 언뜻 일사불란한 조직처럼 보이지만, 그렇지도 않다. 서울시청 앞 천막당사에서 당대표와 밤샘 노숙에 동참한 이는 대부분 ‘동원(?)’된 초선의원이었다. 민주주의의 바탕은 ‘참여’다. 당내 참여의식이 어느 정도인지 의심가는 대목이다.

이 와중에 김한길 당대표는 지방을 순회하는 장외투쟁 중이다. ‘국민의정부’에서 요직을 두루 거쳤지만, 지난 경선에서 국민보다 당이 그래도 더 우선이라며 당선된 김 대표다. 지방선거도 아직 8개월 넘게 남았으니, 순회투쟁에는 국민보다 당원의 관심만 더 클 게 뻔하다. 그래도 지역구 의원을 국회에 꽁꽁 묶어뒀으니 어쨌든 당대표의 지역조직 장악력은 높아질 듯하다. 그런데 정기국회가 파행인 마당에 제1야당 당수의 행보로는 낯설다. 오늘 민주당의 모습, 과연 이게 ‘민주’인가.

kyhong@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