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광구, 과학기지, 희망의 우리땅 ‘여(礖)섬’
[함영훈 미래사업본부장] 남편 밥그릇이 비어가면 아내가 채워주고, 착한 며느리를 본 시어머니가 며느리 그릇에 밥을 보태고, 어머니의 빈그릇은 다시 아들이 채워주는 이 아름다운 제주도 가정에 불행이 찾아온 것은 ‘지상낙원’ 소문 때문이었다.

먹을 것 걱정없고 기화요초가 만발하며 선녀같은 여인들만 산다고하는 ‘이어도’를 찾아 동네 남정네들이 모두 떠난 것이다. ‘낙원의 섬’ 개척에 나섰던 남자들이 대부분 실종된 사이, 부부의 행로는 엇갈린다. 해변가에서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는 정작 파도에 휩쓸려 망망대해를 배회하다 이어도에 도착하고, 남편은 겨우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아내 잃은 고통의 나날을 보내야했다.

이어도에서 부족함 없이 살던 아내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 때문에 섬을 탈출해 천신만고 끝에 집에 와보니 4대 후손이 살고 있었고 자신은 순식간에 꼬부랑할머니가 된다. 이어도 전설에서 이어도의 하루는 속세의 10년이었던 것이다.


“물로야 뱅뱅, 돌아진 섬에, 먹으나 굶으나 아~, 이어도 사나...” 제주해녀의 ‘물질’ 노동요에서 이어도는 (가기엔) 위험하지만 (가면) 걱정없는 상상의 섬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어도는 엄연히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영토이다.

‘파랑도’라고도 불리는 이어도는 제주의 마라도에서 서남쪽으로 149km, 중국 상해 앞바다 퉁다오에서 247km, 일본 도리시마에서 276km 떨어진 곳에 있다. 남북으로 1800m, 동서로 1400m 크기이다.

이어도란 우리말 ‘여섬’에서 비롯되었다. 여섬의 여(礖)는 ‘물 속에 숨어 있는 바위’를 말한다. 가장 높은 바위끝이 수심 4.6미터이다. ‘礖’는 발음이 같은 ‘女’라는 왜곡된 뜻으로도 회자된 듯 하다. 선조들은 이미 이곳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좌초되어 돌아오지 못한 넋을 위로하기 위해 낙원의 섬에 갔을 것이라고 위안 삼았던 것 같다.

10년전 76m(수면위 36m) 종합해양과학기지가 우뚝세워진 우리 땅이다. 산유국의 꿈이 서린 ‘제7광구’의 중심지이다. 과학을 통한 지상낙원의 희망이 살아 숨쉬는 이어도에 독도사랑의 그 마음이 이어졌으면 한다.

/abc@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