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장성택에 대한 국가안전보위부 특별군사재판이 12일 진행돼 형법 60조에 따라 사형 판결을 내리고 즉시 집행했다”고 13일 보도했다. 장성택은 김일성의 사위이자 최고권력자 김정은의 고모부로 며칠 전까지 북한 내 2인자 지위를 누려왔다. 그런 그가 ‘반당반혁명종파행위자’로 낙인 찍혀 공개 석상에서 끌려 나간 지 불과 나흘 만에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것이다.
중앙통신은 국가전복, 직위남용, 부정부패 등 “영도의 계승문제를 방해하는 천추에 용납 못할 대역죄를 지었다”고 장성택의 처형을 정당화했다. 그게 사실이든 아니든 권력 2인자에 대한 전격 처형이 몰고 올 파장은 그 끝을 가늠키 어려울 정도로 클 수밖에 없다. 당분간 북한은 공포정치의 위세에 눌려 김정은 1인 독재 체제가 더 견고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이번 사태가 체제 유지의 근간을 흔드는 치명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북한 급변사태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장성택은 온건 개방주의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 그를 처형했으니 이제 외부와의 빗장은 더 굳게 닫힐 것이다. 이럴 경우 시장경제의 맛을 보기 시작한 북한 주민들의 경제와 체제에 대한 불만은 억누르기 어려울 정도로 확산될 게 뻔하다. 일부 권력층과 기득세력들의 불안감도 적지 않을 것이다. 자신에게도 언제든 무자비한 숙청의 칼날이 날아올 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 분명히 알았을 것이다. 실제 장성택과 가까운 일부 인사의 공개 처형이 있었고, 그럴 가능성이 높은 고위급 인사의 망명설이 나돌고 있다. 잠시 뜸해진 일반 주민의 북한 이탈이 재개되는 것도 시간문제다.
이러한 움직임을 북한 최고 권력층이 모를 리 없다. 그럴수록 주민에 대한 단속과 체제 결속을 높이기에 열을 올릴 것이다. 최근 힘을 받고 있는 군부가 연평도 포격 때처럼 국지적 도발을 감행할 개연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정부는 장성택 처형이 알려지자 즉시 청와대에서 긴급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여는 등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지만 군 당국은 경계와 감시 태세를 한치도 늦춰선 안 된다.
어떤 형태든 북한 내부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물론 그 방향이 어디로 흐를지는 누구도 속단하기 어렵다. 다양한 가능성에 대비한 단계별 대응전략을 촘촘히 마련하고, 미국 중국 등 주변국과의 공조체제도 거듭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과 국론 결집이 절대 필요한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