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사고본 의궤 등 1207점 유물
문화재청은 오는 12일 강원 평창군에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박물관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을 정식 개관할 계획이다. [연합] |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일제 강점기 때 일본으로 반출된 조선왕조실록이 110년 만에 타향살이를 끝내고 고향인 오대산으로 돌아온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오는 12일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박물관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을 정식 개관한다고 9일 밝혔다.
새로 문을 여는 실록박물관은 조선시대 유물 1207점을 보관, 관리한다. 특히 일본에서 돌아온 이후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해 온 오대산 사고본 실록 75책과 의궤 82책 등이 포함돼 눈길을 끈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을 세운 태조부터 철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472년간의 역사를 담은 역사서로, 같은 책을 여러 권 찍어 춘추관과 충주·전주·성주 등에 사고(史庫)를 지어 운영했다. 하지만 임진왜란(1592∼1598)으로 전주 사고를 제외한 나머지 사고는 모두 소실됐다.
이후에는 사고를 사람들의 발길이 드문 깊은 산속에 설치했는데, 이중에서도 강원 오대산 사고본은 조선왕조실록은 물론, 왕실의 주요 행사를 정리한 의궤(儀軌), 왕실의 족보 등과 같은 주요한 기록물을 보관했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인 지난 1913년 오대산 사고본은 도쿄제국대학으로 반출됐다가 1932년, 2006년, 2017년 등 세 차례에 걸쳐 '성종실록', '중종실록', '선조실록' 등이 돌아와 그간 국립고궁박물관이 보관하고 있었다. 하지만 실록박물관의 개관으로 오대산 사고본이 이곳에 자리잡으면서 반출된 지 약 110년 만에 제자리를 찾게 됐다.
문화재청은 오는 12일 강원 평창군에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 의궤를 보관·전시하는 박물관인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을 정식 개관할 계획이다. [연합] |
박물관은 상설 전시를 통해 오대산 사고에 보관해온 조선왕조 기록을 소개한다. 총 3부로 구성된 전시는 조선시대에 왕실 기록물을 어떻게 만들고 보관했는지 설명하며 시작한다. '실록각'(實錄閣), '선원보각'(璿源譜閣) 등 지방 사고에 걸었던 현판도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상설 전시에서는 조선 왕실의 '행사 보고서'인 다양한 의궤도 다룬다. 의궤는 왕실 행사나 국가의 중요한 사업이 끝난 뒤 전 과정을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자료로, 2011년 일본에서 환수한 오대산 사고본 의궤는 모두 19세기 후반 이후 제작된 것이다.
1906년 경운궁을 중건한 공사 과정을 기록한 '경운궁중건도감의궤', 철종(재위 1849∼1863)이 승하한 뒤 국장과 관련한 절차 등을 정리한 '철종국장도감의궤' 등도 이곳에서 만날 수 있다.
다만 관람객들은 당분간 상설전시실 중심으로 박물관을 이용할 수 있다. 박물관이 기존 월정사 성보박물관이 운영하던 '왕조·실록의궤박물관' 일부를 새로 단장한 뒤 상설전시실부터 우선 공개했기 때문이다. 엄밀히 따지면 부분 개관인 셈이다. 박물관은 오는 2025년까지 총 3단계에 걸쳐 건축·설비 등을 재정비할 계획이다.
한편 박물관과 오대산 사고 일대에서는 개관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린다. 오는 10일에는 실록과 의궤를 오대산으로 옮기는 이운 행렬을 재연하는 행사가, 11일에는 오대산 사고본의 귀향을 알리는 고유제와 박물관 개관식이 각각 진행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오대산 사고본의 귀환을 생각하면서 아픈 역사의 상처를 씻어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이 회복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abc@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