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생충’ 음악감독 정재일 “나만의 음악 만들때 전통요소가 핵심”
내달 15~16일 세종문화회관서 단독콘서트
음악감독·솔로·전통음악 협업 작업 망라
정재일이 밴드(한상원 밴드)로 데뷔한 1996년 이후 27년 만에 처음으로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단독 콘서트를 연다. 이번 단독 공연은 2020년 블루스퀘어 이후 3년 만이다. [세종문화회관 제공]

“전 근본 없는 음악가예요.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지금도 자신이 없을 때가 많아요.”

음악가 정재일을 설명할 수 있는 말을 찾기는 쉽지 않다. 지금의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영화 ‘기생충’과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겠지만, 오랜 시간 그를 따라다닌 수사는 ‘천재 소년’이었다. 손이 닿는 영역에 ‘장르의 경계’가 없고, 작곡가이면서 음악감독, 솔로 음악가로 ‘역할의 한계’도 없다. 내년부터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음악감독으로 임기를 시작하는 세계적인 지휘자 얍 판 츠베덴에게 협업 제안도 받았다. 그래서 붙이는 수사가 ‘전방위 뮤지션’ 정도다.

“제 일은 고뇌에서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작업은 아니에요. 그때 그때의 어법을 찾아 충실하고 있죠. 근본 없이 음악을 해도 새롭게 하려는 생각으로 임하고 있어요.”

정재일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상원 밴드로 데뷔한 1996년 이후 27년 만에 처음으로 다음달 15~16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단독 콘서트를 연다. 이번 단독 공연은 2020년 블루스퀘어 이후 3년 만이다.

최근 세종문화회관에서 만난 정재일은 “이렇게 어마어마한 극장을 내주셔서 굉장히 긴장하고 있다”며 “공연에선 음악감독으로서 영화와 드라마 작업, 레이블 ‘데카’에서 발매한 솔로 앨범 ‘리슨’과 최근 내놓은 디지털 싱글 ‘어 프레이어(A prayer)’, 오래도록 이어온 전통 음악 등 세 파트로 구성한 무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구성이 절묘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 세 가지 구성이 정재일의 음악 갈래를 잘 보여주고 있어서다. ‘영화나 드라마 감독의 통역사 역할’을 하는 음악가, 자신의 음악 세계를 성실히 구축해온 솔로 음악가, 전통 음악과 협업을 시도한 무경계 음악가로서 작업을 보여주는 자리다. 공연에서도 전통 음악계에서 다양한 시도를 해온 주요 연주자와 함께 한다. 블랙스트링과 음악그룹 나무를 통해 경계를 허문 음악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대금 연주가 이아람, 소리꾼 김율희, 재일동포 3세 가야금 연주자 박순아, 사물놀이 느닷(NewDot) 등이 그와 함께 공연할 예정이다.

정재일의 음악은 중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5년 그는 서울재즈아카데미에서 작곡과 편곡을 처음 배웠다. 그는 “중학교를 졸업한 이후 고등학교를 다니지 않아 내가 교육을 받았으면 (음악을) 더 잘했을까, 그런 생각을 여전히 한다”고 말했다.

그의 생각과는 무관하게 세상은 정재일을 달리 봤다. 중학생 정재일은 일찌감치 기타리스트 한상원의 눈에 띄어 밴드 활동을 시작했다. 이듬해인 1996년엔 ‘푸리’의 리더이자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전 음악감독인 원일을 만나 ‘나쁜 영화’(1997년)와 ‘강원도의 힘’(1998) 등 OST(영화음악)를 제작했다.

정재일은 당시 원일과의 만남으로 전통 음악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됐다. 그는 스스로 “전통음악에 빠져 30년 정도 하고 있다”며 “원일 감독의 영화음악 작업을 도우며 전통악기를 쓰는 방법에 대해 많이 학습했다”고 말했다.

“전통음악을 예술 소비자로서 좋아해요. 꼬마 때부터 사랑에 빠졌어요. 중국이나 일본의 예술에 비해 압도적인 것이 떨어질 수 있지만, 깊이 들어가면 아주 넓은 세계가 있어요.”

그의 음악에서 ‘전통의 존재감’은 빼놓을 수 없다. 푸리의 멤버이자 작창가인 한승석 중앙대 교수와 국악 크로스오버 앨범 ‘바리 어밴던드(abandoned)’를 내며 2015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음반상을 받았고, 국립창극단의 ‘트로이의 여인들’을 작업하며 무대에서 전통음악을 확장했다.

최근 발매한 ‘어 프레이어’엔 판소리를 중심에 둔, 전통의 색채가 짙은 음악이 담겼다. 오케스트라와 소리꾼, 전통악기를 조합하는 새로운 시도를 풀어낸 작업이다. 진도 씻김굿과 비나리(고사를 지내며 부르는 노래)를 담았다. 그는 “행복을 빌어주고 액운을 물리치는 비나리를 통해 나와 타인을 위해 기도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며 “망자의 영혼을 깨끗하게 씻겨 다른 세상으로 보내주는 씻김굿처럼 세상을 떠나는 사람이 좋은 작별을 할 수 있게 하는 바람으로 작업했다”고 말했다. 이 음반에 담긴 곡들은 지난 달 영국 바비칸센터에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본 공연 전 대기실에서 다른 연주자들이 우리 전통 악기 연주자에게 눈길을 떼지 못했어요. 관객도 ‘세상에 저런 음악이 있네’라는 느낌으로 환호해 주셨고요. 판소리, 무속음악과 같은 우리 전통음악은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느꼈어요.”

정재일은 하지만 “음악을 작업하며 국악과의 접목을 목표로 한 적은 없다”고 했다. “문득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전통의 요소”이고, “곡을 만들다 보니 전통악기를 쓰고 전통 어법을 쓰게 되는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동물학자 제인 구달 박사가 내레이션 한 ‘2021 피포지(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테마곡 ‘웨이크 업 콜’을 작업할 땐, “환경에 대해 생각하며 고대 사운드를 찾다 보니 조선시대 궁중음악 ‘수제천’이 떠올랐다”고 했다. KBS 다큐멘터리 ‘의궤’를 작업할 때는 록 음악 기반이나 전통의 요소가 포함됐다.

자신만의 음악을 만들 때에도 정재일은 “전통음악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전통악기를 무대에서 구현할 때면 록 밴드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며 “무엇보다 자유롭고, 디테일에 얽매이기 보다 전체적인 구성와 역동성에 신경쓰게 되는 작업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전방위 음악가’인 그는 “지금의 난 작곡가와 음악감독의 비중이 90%를 차지한다”고 돌아본다. “음악은 모두의 가장 친한 친구”이기에 모든 장르에서 ‘작곡된 음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그동안 제 마음에서 우러나와 ‘맨땅에 헤딩’하며 쓴 곡들이 없었어요. 테마를 위한 곡이나 주인공을 위한 곡을 주로 작업해왔죠. 현재의 전 학습하고 탐험하는 중이에요. 내 안에 어떤 파편과 메시지가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어요. 어릴 때 푹 빠졌던 헤비메탈도 할아버지가 되면 못하니 빨리 해보고 싶어요.”

고승희 기자

shee@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