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의 봄’ 박해준 “이태신처럼 살 수 있을까…비겁함에 부끄럽다”[인터뷰]
“자신의 본분 다했을 때 주는 감동”
황정민은 ‘판을 만드는’ 훌륭한 배우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헤럴드경제=이현정 기자]“부끄러웠어요. 저는 저렇게 이태신처럼 살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거든요. 저는 그렇게 살지 못해서 비겁하게 느껴졌어요.”

배우 박해준은 최근 서울 삼청동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영화 ‘서울의 봄’을 시사한 소감을 이같이 밝혔다.

지난 22일 개봉한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무력을 총동원해 군을 불법적으로 장악한 군사 반란의 9시간을 그렸다. 영화는 개봉 6일 만에 2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몰이 중이다. 이는 올해 ‘범죄도시 3’ 다음으로 짧은 기간이다.

박해준은 ‘서울의 봄’에서 군사반란을 주도하는 전두광(황정민 분)의 친구이자 9사단장 노태건으로 분했다.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한 실제 인물을 모티브로 한 역할이다. 전두광이 반란을 주도적으로 이끈다면 노태건은 이를 옆에서 보좌하며 반란 세력이 이탈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전두광이 행동이 되게 불같고 앞서는 느낌이라면, 그걸 수습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어야 된다고 생각했어요. 유치한 비유일 수 있지만, 노태건은 독불장군 옆에 살림을 맡는 엄마 같은 인물이라고 생각했죠.”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박해준은 극 중에서 군인들에게 반란에 합류할 것을 전화로 끝없이 설득한다. 이 와중에 수화기를 너머 “믿어주세요”라고 말하며 실소를 자아낸다. 이는 실제 인물의 유명한 어록 중 하나다. 그러나 정작 그는 성대모사를 한 것은 아니라고 고개를 저었다.

“(그 대사가 그 유명하단 걸) 까먹고 있었어요. 촬영 당일에서야 ‘어? 그게 그건가?’ 했죠. 그런데 저희가 아는 ‘믿어주세요’의 뉘앙스로 나오지 않길 바랐어요. 그래서 최대한 의식하지 않으려고 노력했죠.”

노태건을 포함한 반란 세력은 반란의 진전 상황에 따라 천당과 지옥을 수없이 오간다. 여러 명의 배우들이 등장하는 앙상블 장면은 이러한 긴장감을 관객들에게 그대로 전달한다. 박해준은 훌륭한 앙상블 연기가 가능했던 것은 철저한 리허설과 배우들의 역량 덕분이라고 봤다.

“촬영에 들어가기 전에 항상 리허설을 했는데, 나중엔 배우들만의 각자 캐릭터가 생기니까 (연기 호흡이) 굉장히 유기적으로 만들어졌어요. 다들 관록이 있는 배우들이라 뭐든지 금방 캐치해서 만들어내더라고요. 한 컷 당 길어야 10분 남짓인데 마치 공연하는 것처럼 말도 안되게 좋았어요.”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그는 특히 환상적인 앙상블 연기를 주도한 배우 황정민에 대해 ‘판을 만드는 배우’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정민 씨는 촬영이 딱 시작하는 순간 극중 분위기로 싹 만들어 놓는 능력이 탁월해요. 정말 훌륭한 배우죠. 일부러 긴장감 있게 연출하기 위해 그렇게 만드는 능력이 있어요. 전 거기에 편승한 것 밖에 없어요.”

박해준은 극 중 가장 끌리는 인물로 정우성이 연기한 이태신을 꼽았다. 이태신은 반란 세력에 맞서 수도 서울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수도경비사령관으로, 몇 안되는 ‘참군인’ 중 한 명이다. 박해준은 자신에 본분에 충실하는 이태신의 모습이 감동적이었다고 했다.

“이태신이 군인으로서 자신의 도리를 다 하려는 것이 정말 감동적이었어요. 당연한 건데 왜 감동적일까 생각해보니, 자신이 맡은 일에 대해 책임을 가지고, 그걸 지켜내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걸 알았어요. 자신의 본분을 다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구나, 반대로 사람 자체가 사람으로서 온전히 존재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구나 생각했습니다.”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박해준이 김성수 감독과 작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감독의 제안으로 출연하게 된 박해준은 그의 현장 연출력에 감탄했다.

“현장에서 연출이 너무 세련되고 의견을 수용하는 능력이 뛰어나 사실 많이 놀랐어요. 지금껏 어찌 그렇게 연출했을까 놀라울 따름이에요. 진짜 처절하게 찍어낸 장면들을 숨 쉬지 못할 정도로 만들고, 좋은 배우들을 더 좋게 만들어 주시죠.”

박해준은 마지막으로 ‘서울의 봄’이 어떤 영화인지 짧게 정의해 달라는 질문엔 “감동과 재미, 그리고 여운이 있는 영화”라며 “영화를 보면 분명히 얻고 나가는 것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ene@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