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배송 아직 걸음마…수요예측 필수
대형마트, 정부 규제 완화 방침에도 ‘머뭇’
한 대형마트의 신선식품 코너[연합] |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현재 식품 배송 업체 중 풀콜드체인(Full Cold Chain)을 갖춘 업체는 없다. 보관이나 배송 과정에서 콜드체인이 끊기면 폐기되는 식품이 생긴다. (콜드체인이 완벽하지 않으면) 기업 입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연구원(이하 진흥원) 관계자는 콜드체인 기술 개발을 국책사업으로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콜드체인은 식료품의 생산부터 소비까지 전 과정에서 신선도를 위해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뜻한다. 지난해 1월부터 진행 중인 해당 연구의 실증은 현재 마켓컬리가 맡고 있다. 연구용역은 오는 2027년 끝난다. 기술이 개발되면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로열티를 지급하고, 새로운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국내 식품 콜드체인 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고비용 구조를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수익성 문제는 새벽 배송에 뛰어든 일부 업체가 사업을 철수하게 만들었다. 실제 롯데쇼핑의 이커머스 플랫폼 롯데온은 2020년 새벽 배송 시장에 진출했지만, 적자폭이 커지면서 2년 만인 2022년에 백기를 들었다. BGF의 헬로네이처도 2021년 271억원의 손실을 기록하며 사업을 접었다. 2015년 사업을 시작한 마켓컬리가 7년 동안 적자를 기록한 것도 같은 이유다.
소비자에게 온전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식품은 기업의 손실이 된다. 수요 예측 실패에 따른 재고가 쌓이면 부담도 눈덩어리가 된다. 유통 전 과정에 걸쳐 상품의 온도를 유지하는 풀콜드체인이 필수적이라는 의미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냉장·냉동 보관된 신선식품도 짐을 싣고 내리는 과정에서 변질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고객이 제때 신선식품을 회수하지 못해 상온에 오랫동안 노출되는 것도 풀어야 할 과제”라고 했다.
보관부터 배송까지 현재 콜드체인은 완벽하지 않다. 신선식품은 ‘냉장·냉동 배송차’를 통한 온도 유지가 중요하다. 현재 운용하는 전 차량에 냉장·냉동 시스템을 적용한 업체는 ‘마켓컬리’ ‘쓱닷컴’. ‘홈플러스’ 정도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국토부에 등록한 냉장·냉동 트럭은 2021년 13만2689대→2022년 13만5726대→2023년 13만7300대로 늘었다. 그러나 온라인 식품시장의 성장세에 비하면 속도는 더디다.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식품시장 규모는 2015년 6677억원에서 2022년 36조102억원으로 약 54배 성장했다.
정부가 꺼내든 ‘새벽 배송 규제 완화’를 대형마트가 마냥 반길 수 없는 이유다. 완벽한 콜드체인을 구축하지 않은 채 새벽 배송 물량을 늘렸다가 되레 비용 부담만 늘어날 수 있어서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새벽 배송 자체에 대한 수익성을 먼저 따져봐야 한다”고 짚었다. 다른 대형마트 관계자는 “현재 신선식품을 배송하는 업체 가운데 수익성 문제로 사업을 줄이는 경우도 많다”면서 “풀콜드체인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으면 새벽 배송 물량을 쉽게 늘리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coo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