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수출도 안심상황 아니다...미·중 경기위축 대비해야

수출 증가세가 1년 가까이 계속되면서 내수부진에 빠진 우리 경제를 받쳐오고 있지만 조만간 정점을 찍고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해외 금융계의 경고가 나왔다. 전년도 수출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데다 한국의 대외교역 비중이 큰 미국과 중국이 동시에 경기둔화에 빠질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대외리스크에 대한 정부와 한은, 기업의 면밀한 대비가 필요하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씨티, HSBC, 노무라 등 일부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이달 들어 연이어 한국 수출증가율에 대한 ‘피크 아웃(정점 후 하락)’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국 수출이 2023년 10월 4.9% 기록하며 플러스로 전환한 이후 올해 8월(11.4%) 11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다음달부터는 기저효과가 약화·소멸될 것이라는 게 이들 IB의 예측이다. 한국의 수출 의존도가 큰 중국과 미국, 유럽연합(EU)의 경기위축 전망도 악재다. 부동산시장 침체와 내수 부진에 따라 주요 IB들은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하는 추세다. 미국은 제조업 경기위축에 더해 고용 냉각 신호까지 나타나 경제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8월 한국 수출에서 중국과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9.2%와 18.8%였다.

한국 수출증가율과 큰 상관관계를 보이는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2개월 연속 기준치인 50을 밑돌았다. 여기에 더해 반도체 가격상승세가 약화하고 국제유가가 하락하면서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와 석유제품 등의 수출증가세가 약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 금리인하에 따른 달러 대비 원화 환율 변동도 변수다. 미국은 지난 19일 ‘빅컷(0.5%포인트 인하)’을 단행했는데 한미 간 금리 차이가 좁아지면 달러 약세·원화 강세로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 특히 우리로선 집값 상승과 가계대출 증가로 한은의 통화정책 운신폭이 넓지 않고 국가부채 부담으로 정부의 재정정책도 제한적이어서 우려가 크다.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경기마저 꺾이면 우리 경제성장률 달성에도 비상등이 켜질 수밖에 없다. 지난달 한은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각각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1%포인트 낮춘 2.4%와 2.5%로 조정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을 2.1%로 전망하면서 미국의 성장률 둔화폭이 확대되면 0.3%포인트 더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요국들의 경기부진 시나리오에 대비한 기업들의 전략뿐 아니라 경제성장률 하방 압력에 대처할 수 있는 정부와 한국은행의 거시경제 관리대책 공조가 절실하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