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욕망, 신도시 부부의 ‘안온한 몸’을 관통하다
‘사회계급=몸관리’로 판단하는 중년 부부
송도국제도시 중산층·노동자 각양각색 초상
교수출신 작가 등단作 ‘혼불문학상’ 화제
우 작가의 신작소설 ‘시티-뷰’의 배경이 된 송도국제도시 모습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시티-뷰/우신영 지음/ 다산책방

‘모두가 석진과 수미처럼 좋은 식사와 운동을 할 만한 여유가 없다는 것을 모르지 않았다. 그럼에도 자신들이 참아내는 식욕과 게으름을, 인내하지 못하는 족속들이 답답했다. 값싼 쾌락을 당겨 누린 대가로 병들고 늘어진 신체를 끌며 자신들을 찾아오는 고객님과 회원님들이 경멸스러웠다. 그런 인간들의 어리석음과 충동성이 자신들의 주머니를 불려주고, 그 덕에 백화점 지하식품관에서 유기농 아보카도를 사고 피트니스회원권을 갱신할 수 있는데도.’(소설 ‘시티-뷰’ 중)

우신영 작가의 신간 소설 ‘시티-뷰’를 읽는 독자는 누구든 어느 한 편에 서게 된다. 식욕과 게으름을 참아내며 남들이 선망하는 몸을 갖춘 사람이거나 아니면 아프고 병든 몸을 임시방편으로 고치려 해도 끝내 실패하고 마는 사람들 중에서 말이다. 그만큼 현대인은 누구나 ‘몸’의 이슈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든 강박과 불만을 느낀다. 그렇기에 그가 작품에서 표현한 몸에 대한 극사실적인 묘사는 쓴웃음이 나거나 혹은 우울해진다.

우 작가는 장편소설 ‘시티-뷰’로 등단과 함께 ‘제14회 혼불문학상’을 받았다. 국어교육과를 전공한 그는 지난 10년간 대학 강단에서 현대소설을 가르치다 올 2월 퇴사한 이후 본격적으로 집필작업에 돌입했다. 초스피드로 써내려간 작품이지만 소설 속 등장인물의 묘사와 이들이 뱉어내는 말을 보면 오랜 시간 관찰하지 않고서는 잡아낼 수 없을 정도로 미묘한 부분이 많다.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는 우신영 작가

최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만난 우 작가는 “집필기간은 몇 달 안 되지만 지난 7년간 송도에 거주하며 마음속으로 생각해오던 것이기에 7년 동안 썼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그는 몸에 대한 이야기를 쓴 배경에 대해 “현대소설 교육론 첫 수업은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돈’과 ‘성(姓)’이라고 가르치며 시작한다”며 “그런데 이 둘이 교차하는 가장 미시적이면서 구체적 장소가 몸”이라고 설명했다.

“어떤 분이 저에게 ‘신영아, 드라마 ’시크릿가든‘에서 그랬던 것처럼 부자랑 빈자는 몸이 바뀌는 정도의 설정이 아니고서는 더는 서로를 이해할 수 없나 봐’라고 한 것이 계속 머리에 맴돌았어요. 그래서 한 번 몸에 대한 이야기를 씨줄-날줄로 통과해보자고 마음먹었죠.”

경제자유구역을 표방한 송도국제도시는 여타 인천의 구도심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세계다. 젊은 사업가 중산층 가족과 지극히 한국적 얼굴을 하고도 온 가족이 영어로 소통하는 ‘검은 머리 외국인’으로 이뤄진 독특한 공간이다. 또 주변은 온통 최신식 푸른 통유리로 된 현대식 건물들이 도열해 있다. 어두운 저층주거지, 가난한 노인 등은 소거됐다.

‘석진’과 ‘수미’ 부부는 각각 소화기내과 의사와 ‘비생계형’ 필라테스숍 원장으로, 송도국제도시의 안온한 중산층을 대변한다. 내시경 검진으로 적지 않은 수입을 올리는 석진은 환자의 생김새만 봐도 위와 대장 속 종양이 몇 개일지 가늠할 수 있다. 발레리나를 꿈꿨던 수미는 이제 필라테스숍 홍보수단으로서 자신의 몸을 완벽히 관리된 상태로 유지한다. 단지 밥벌이 때문은 아니다. 계급의식도 침투해 있다. 로펌 대표 집안의 외동딸이기도 한 그녀는 ‘불편한 것이 예쁜 것’이라는 신조로 집에서도 밀착되는 옷을 입는다. 아내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 섬 출신 ‘개천에서 난 용’ 의사 남편도 등산과 클라이밍으로 뱃살이 나오지 않게끔 관리한다. 이들과 관계된 젊은 남자 헬스트레이너 ‘주니’, 그리고 근방 남동공단 조선족 여공 ‘유화’, 평생 노동만 하다 죽은 석진의 어머니의 몸은 제각기 노동자의 몸을 대표한다.

하지만 우 작가의 말대로, 부자와 빈자는 몸이 바뀌지 않고선 끝내 서로를 이해할 수 없었을까. 수미는 주니와, 석진은 유화와 각각 불륜을 저지른다. 석진의 매력 없는 몸을 보다가 서구 체형의 주니를 보며 수미는 유혹을 감행한다. 석진도 완벽하게 꾸며진 아내를 두고 남루하기 이를 데 없는 유화에게 오히려 끌린다.

작품을 주로 이끌어가는 것은 석진-수미 부부이지만 유화와 주니, 그리고 그들의 주변인물인 노동자계층의 서사 역시 흥미롭다. 작품 속 외국인 여공, 고층빌딩 청소부 등은 교수 출신인 작가와 거리감이 있는 인물이지만 일종의 ‘부채감’으로 그들의 삶을 작품에 녹여냈다.

우 작가는 수상 소감에서 “글로 읽고 귀로 들은 노동자 문제를 (작품에서) 다루게 돼, 한편으로 마음이 복잡하고 무거웠다”며 “ 어쩌면 이 사람들의 삶에서 더 많은 글과 이야기가 탄생할 텐데 ‘(쓰는 권력은) 내가 다 쥐고 있네’라는 자각이 들었죠. 그래서 발언 기회를 좀 나눠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원래 소설의 제목은 ‘면도날’이었다. 칼로 제 몸을 베어야만 살아지는 삶도 있다고, 통속과 신파를 피해 작가는 전한다.

이민경 기자

think@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