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한, 베트남전 참전한 한국 모방”
NYT “한미동맹 강화처럼 북러 동맹 굳히기”
한·미, 북의 파병 대가 관련 정보 입수 못해
6월 19일 북한 평양 금수산 영빈관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조약’을 체결한 뒤 악수를 나누는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EPA]

북한의 러시아 파병 목적을 두고 과거 한국이 베트남전에 참전해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한 것처럼 러시아와의 동맹을 굳히기 위함이라는 등의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전문가를 인용해 북한이 수십년 전 한국의 베트남전 파병을 모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1964년부터 1973년까지 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약 32만명의 병력을 투입해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했다”며 “그 대가로 미국은 한국 군대를 현대화했고 경제 성장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자금을 마련했다”고 지적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파병을 통해 정치적 고립에서 벗어났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NYT에 “북한군 파병이야말로 진정한 ‘한계 없는’ 협력 관계”라며 “만약 북한 군인이 푸틴을 위해 죽어가고 있다면 이는 완전히 다른 영역으로 접어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러시아에 무언가를 요구를 할 때 이를 언급할 것이고, 푸틴은 김 위원장이 원하는 것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NYT는 “러시아가 북한군 파병에 따른 대가를 지불하거나 석유 혹은 북한이 필요한 군사 기술 등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는 정보를 미국과 한국 정보 기관에서 입수하지 못했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무엇을 받는지가 미국과 한국 정보 기관들의 최대 관심사”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미사일 기술에 대한 협력이 증가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그 분야에서 김 위원장은 매우 구체적인 요구 사항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에 관련 차 석좌는 “북한이 미국의 국가 미사일 방어망을 회피하고, 압도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구축을 공공연히 추구해왔다”고 지적했다.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차두현 수석분석관도 NYT에 “러시아가 북한과의 군사적 관계가 심화되는 상황은 러시아가 이제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니라 받아들일 수 있는 문제로 간주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북한군 파병에 대해 중국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러시아에 군사적인 도움을 받으려는 김 위원장의 행보는 중국에서 환영받지 못하지만 현재까지 중국이 불쾌감을 표명한 증거는 없다고 NYT는 전했다. 김빛나 기자

binna@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