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3차 핵실험 감행하면 어떤 일이...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에 이은 핵실험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또 다시 재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만의 하나라도 북한의 3차 핵실험이 현실화된다면 지난 2차례의 핵실험과는 정치·외교·군사적으로 또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될 전망이다.

북한의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4일 2009년 2차 핵실험을 운운하며 국제사회가 광명성 3호에 제재를 가할 경우 3차 핵실험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실제 북한은 2006년 7월 장거리로켓 ‘대포동 2호’를 쏘아올린 뒤 10월에 1차 핵실험을 했으며, 2009년 4월 ‘광명성 2호’를 발사하고 다음 달인 5월에 2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북한이 3차 핵실험에 나선다면 지난 2차례와 같은 플루토늄이 아닌 고농축우라늄(HEU)에 기반한 핵실험 가능성이 점쳐진다.

북한은 이미 2010년 미국의 핵전문가인 시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교수에게 원심분리기 2000여대를 공개하며 HEU 능력을 과시한 바 있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5일 “북한은 2차례 핵실험을 통해 증명한 무기급 플루토늄을 소진하기보다는 농축우라늄 능력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를 선호할 것”이라며 “북한 입장에서는 HEU 기반 핵실험이 그렇게 어려운 기술도 아니다”고 말했다.

문제는 HEU의 경우 플루토늄에 비해 은닉과 제조, 보관, 운반이 훨씬 용이하기 때문에 테러위협에 노출될 가능성도 그만큼 높다는 점이다.

핵안보정상회의까지 열어가며 핵 테러 방지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 입장에서는 북한의 HEU 핵실험은 악몽일 수밖에 없다.

이와 함께 북한의 3차 핵실험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둘러싼 논란을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는 공식적으로는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미국의 국무부, 국방부 고위 인사들은 북한을 사실상 비공인 핵보유국으로 간주한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군축 분야 국제 비정부기구인 핵위협방지구상(NTI)은 올초 공인 핵보유국인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그리고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등과 함께 북한을 9대 핵무기 무장국가로 분류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감행한다면 6자회담 참가국은 북핵문제의 해결방향을 폐기에 초점이 맞춰진 ‘비핵화’에서 관리에 중점을 두는 ‘비확산’으로 전환해야할지를 두고 심각한 고민에 빠지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이후 추가 도발과 관련해서는 핵실험만이 아니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2006년과 2009년에도 국제사회 제재에 행동대 행동으로 맞대응하고 나섰다”며 “국제사회가 광명성 3호를 제재하면 우라늄 농축활동을 강화하거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신대원기자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