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가장 오래 사는 직업 1위는 무엇?
직업에 따라 수명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 조사 결과 종교인이 가장 오래 살고, 체육인·작가·언론인의 수명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교인과 꼴찌 직업군 간의 수명 차이는 13년이나 됐다.

원광대 보건복지학부 김종인 교수팀은 1963년부터 2010년까지 48년간 언론에 난 3215명의 부음기사와 통계청의 사망통계자료 등을 토대로 국내 11개 직업군별 평균수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직업을 △종교인(승려·신부·목사 등) △연예인(배우·탤런트·가수·영화감독) △정치인(국회의원·시도지사 등) △교수 △고위공직자(장관·차관·정부기관 관료 등) △기업인(기업 회장·임원 등) △예술인(도예·조각·서예·음악 등) △체육인(운동선수·코치·감독 등) △작가(소설가·시인·극작가 등) △언론인(기자·아나운서) △법조인(판사·변호사·검사등) 등 11개 그룹으로 분류했다. 경찰과 군인, 의료인 등은 표본수가 적고 사고 등의 사망이 많아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전체 직업별 평균수명은 종교인이 80세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정치인(75세), 교수(74세), 기업인(73세), 법조인(72세), 고위공직자(71세), 연예인·예술인(각 70세), 체육인·작가·언론인(각 67세)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최근 10년치(2001~2010년)만 놓고 보면 종교인의 평균수명이 82세로 가장 높았고 교수(79세), 정치인(79세), 법조인(78세), 기업인(77세), 고위공직자·예술인·작가(각 74세), 언론인(72세), 체육인(69세), 연예인(65세) 등으로 순위가 조금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10년치 직업별 평균수명이 48년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아졌지만 연예인은 90년대 75세에서 2000년대 65세로 평균수명이 더 짧아진 게 눈에 띈다.

언론인의 평균수명은 2000년대 72세로 약간 증가했지만 60~70년대 평균수명 61세, 90년대 65세였던 점을 고려하면 평균수명 최하위 직군에 해당된다. 체육인도 90년대 평균수명 71세를 제외하고는 60-70년대 61세, 80년대 68세, 2000년대 69세로 전반적으로 수명이 짧은 직군에 속했다.

특히 최장수 직군인 종교인의 80년대 평균수명 80세와 작가의 80년대 평균수명 61세를 비교하면 수명 최대 편차가 19세에 달했다.

연구팀은 종교인이 장수하는 이유로 △신체적으로 규칙적인 활동과 정신수양 △정신적으로 가족관계로 인한 스트레스가 적고 과욕이 없음 △사회적으로 절식, 금연, 금주의 실천 △상대적으로 환경오염이 적은 곳에서의 생활 등을 꼽았다.

김종인 교수는 “단면 분석이긴 하지만 직업별 수명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장수집단인 종교인의 장수요인을 되새겨 볼 수 있다는 점”이라며 “이들이 건강에 관심을 갖고 금연과 절주를 노력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