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한국인들은 아직도 1998년 IMF의 큰 충격을 잊지 못하고 있다. 금융주권을 빼앗긴 국가의 국민으로서 자존심에 커다란 상처를 입었다.
IMF가 외환보유고 고갈로 인한 국가적 재난이었다면, 다음에 설명할 가계부실은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국내 가계부채의 심각성이 최근 자주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논란의 중심은 가계부채가 개인이 감당할 만한 능력의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가구당 소득 대비 이자지출 비율이 점점 높아가고 있다고 한다.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금리인상 가능성이다. 지난 3월 금통위에서 한국은행 정책금리를 3%로 인상했다. 실물경제의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볼 수 있으나 과도한 부채를 짊어진 채무자에겐 큰 부담요인이다.
둘째, 가계대출의 변동금리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0년 6월 말 현재 변동금리 대출비중은 91.3%다. 이러한 구조하에서는 현재와 같은 금리상승기에 더욱 치명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낮은 대출이율, 가계소득 증가와 더불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주식시장 회복세가 지속되면서 가계 순(純)금융자산의 증가를 가져온 점이 위와 같은 위기의식을 느끼지 못하게 만든 주 요인이다. 이러한 부실은 장기적으로 국민경제를 파탄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시한폭탄이 되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대출을 많이 받은 상태의 일반 개인(가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에는 무엇이 있을까?
첫째는 부채비율 축소다. 당연한 얘기지만 가계대출자들의 1순위 재테크는 적게라도 원금상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자만 납부하는 방식에 길들여져 있다면 원(리)금균등상환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
둘째는 대출금리 적용방식에 대한 검토다. 저금리 기조에서는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었지만 금리인상기에는 반대로 독이 된다. 사람들은 대출 시 고정금리든 변동금리든 한 가지 금리 형태에 익숙해 있다. 이를 두 가지 형태의 금리방식으로 기존 대출에 대한 리모델링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즉, 전체 대출금액을 나눠서 고정금리대출과 변동금리대출로 각각 적용받는 방법에 대해 검토한 후 실행한다면 불확실한 금리전망에 대한 최선의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