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이하 과학벨트위)가 13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핵심 요소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한 곳에 두는 ‘통합배치’ 원칙을 확정했다.
하지만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에 설치되는 연구단 수를 명확히 정하지 못함에 따라 앞으로 이 부분이 논란의 초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상주 과학벨트위 부위원장(대한민국 학술원 회장)은 이날 2차 회의 이후 브리핑을 통해 “오늘 과학벨트의 대형기초연구시설은 중이온 가속기로 하고, 중이온 가속기는 기초과학연구원과 통합 배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단 50개는 연구원 내부는 물론 외부 대학과 정부 출연 연구기관(출연연)에 설치해 운영하되, 구체적인 설립 형태는 다양한 방안을 심도있게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세가지 과학벨트 사업 추진방안은 결국 지난 2009년 1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립된 과학벨트 종합계획의 취지와 원칙을 존중한다는 뜻이라고 김위원장은 덧붙였다.
아울러 이날 확정된 과학벨트 입지선정 계획안에 따르면, 과열경쟁을 막는 차원에서 입지선정 공모는 진행하지 않고, 과학벨트위가 전적으로 각 지역의 입지요건을 평가해 결정하게 된다.
입지 평가대상 지역은 비수도권으로서 165만㎡(50만평) 이상의 부지를 확보한 전국 시.군이 모두 해당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시.군은 60~80개 정도로 추정된다. 과학벨트위 분과위인 입지평가위원회가 이 가운데 5개 후보지를 압축하고, 과학벨트위는 이 가운데 다시 1곳을 최종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세부 심사평가 항목은 과학벨트법상 5가지 입지 요건 가운데 ‘부지 확보성’을 제외한 4가지 요건별로 3~5가지씩 두기로 했다. ‘부지 확보성’ 평가 항목은 ‘165만㎡이상 비수도권 시.군’ 조건으로 대치한다는 설명이다.
또 최근 일본 대지진과 방사능 유출 사고로 주목받았던 ‘지반 안정성 및 재해 안전성’ 부문에 대해서는 별도 세부 심사항목을 두지 않고 ‘적격-부적격’만 평가한다.
김 부위원장은 “4월 말~5월 중 평가를 거쳐 5월 말 또는 6월 초 입지 예정지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헤럴드 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