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기획위원회가 연기금의 감시와 견제가 필요한 기업들로 직접 거론한 포스코와 KT는 정부의 ’돌발’ 발언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 모습이다.
공식적인 코멘트는 자제하고 있지만 정부의 의중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최대주주인 이들 기업은 정부의 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첫 번째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KT와 포스코는 작년 말 기준으로 국민연금이 8.26%로 최대주주이고 포스코도 국민연금공단이 5.33%로 가장 많은 지분을 갖고 있다.
미래기획위원회는 방만한 사업 확장을 차단하기 위해 연기금의 지분확대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지만 두 회사는 오히려 비전문가 그룹인 연금이 경영권을 행사할 경우 무분별한 사업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반박한다.
주주가치가 침해되는 것을 막고 경영진에 대한 감시와 견제 강화 차원이라는 정부 주장에 대해서도 이미 국내에서 지배구조가 우수하다고 평가되는 회사들인데 주주가치가 침해된다는 얘기는 근거가 없다고 말한다.
이들 기업 관계자들은 “새로운 관치 경제를 주도하는 것으로 개발시대의 발상이며 구시대적인 행위”라며 입을 모았다. 민영화된 기업을 다시 공기업으로 되돌리려는 조치라는 것이다.
연금 운영의 독립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연금수혜자인 국민의 입장을 고려해 연기금이 현명한 판단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KT와 포스코는 주가하락도 염려하고 있다. 정부의 생각과 달리 이번 방안이 현실화될 경우 국내 경제에 역효과로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외국인 지분율은 작년 말 기준으로 KT가 48.52%, 포스코가 49.9%로 두 회사 모두 50%에 육박한다. 이들 회사는 이번 정부의 방안이 실행에 옮겨질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시장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걱정하고 있다. 만에 하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자 지분을 회수할 경우 기업은 물론 국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이다.
포스코 내부에서는 해외 자원개발 등 다양한 사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최상현ㆍ하남현 기자@dimua>
puquap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