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연속 2교대제’를 둘러싼 유성기업의 노사 갈등이 자동차산업 전반을 뒤흔들고 있다.
유성기업 파업의 여파는 3000여개의 협력사로 까지 번질 조짐이다.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 경찰도 본청 차원에서는 공권력 투입 저울질에 들어갔다. 전문가들은 제고 물량 확보, 거래처 다변화는 글로벌 기업 도약의 필수조건이라며 완성차업계의 인식 변화를 지적했다.
유성기업 사태의 시발점은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을 둘러싼 노사 갈등이었다. 노조는 현재 24시간 가동체제에서 오전 0시부터 8시에 해당하는 야간근무를 없애고, 주간근무(8시~24시)만 2교대로 나눠 근무하자고 주장한다.
앞서 유성기업 노사는 2009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이후 도입을 둘러싸고 노사 간 견해차가 생기면서 파국에 이르렀다. 노조는 회사가 이를 이행할 의지가 없다는 주장이며 사 측은 합의안을 이행하기 전에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유성기업의 파업이 수천 개 협력사의 생사까지 담보하고 있다는 점이다. 1차협력업체인 유성기업의 파업과 차량 생산 중단으로 타격을 입을 자동차 협력업체는 2, 3차업체를 포함해 3000여개에 이른다. 대다수가 현금 유동성이 부족한 중소기업이라 당장 차량 생산 중단에 들어가면 극심한 경영난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
경찰도 분주하게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경찰은 이날 이례적으로 아산경찰서가 아닌 경찰청 차원에서 공권력 투입 여부 및 시점을 논의하는 회의에 들어갔다. 충남지방청 관계자는 “유성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자동차산업 전반의 문제이기 때문에 경찰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회의 결과에 따라 공권력 투입 여부 등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예견된 사태를 사전에 대비하지 못한 완성차업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파업이라면 차라리 단기적으로 해결될 수 있지만, 만약 유성기업에 화재라도 났다면 2, 3개월 이상 차량 생산이 멈추게 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아이슬란드 화산재 사태, 일본 대지진 등에서 이미 부품 조달 다변화가 얼마나 중요한 지 말해주는 사례가 있었는데 천재지변도 아닌 인재로 같은 상황이 발생했다는 건 문제가 많다”며 “국내 완성차업체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려면 위기 상황에 대비, 3개월 가량 제고치를 확보하고 부품 거래처를 다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상수 기자 @sangskim>
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