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빚남은 올림픽이 아니라 빛나는 올림픽이 되려면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가 모두 경제적 성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올림픽과 월드컵 유치라는 낭보에 취해, ‘빛나야 할 잔치’를 ‘빚내는 잔치’로 전락시킨 경우가 세계적으로 적지 않다.

폐막당시 ‘모든 면에서 역대 최고의 동계대회’라고 평가 받았던 벤쿠버 올림픽은 2년지난 지금 캐나다 정부의 골칫거리다.

올림픽 준비로 막대한 재정을 지출한 벤쿠버와 도시가 속한 브리티시 컬럼비아주는 교육과 보건분야 등에서 적지 않은 예산을 삭감했다.

이미 34년전 몬트리올 올림픽의 후폭풍을 경험한 캐나다 정부가 경제적으로도 의미있는 올림픽을 만들겠다고 심기일전 했음에도, 막대한 재정투자가 경제와 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올림픽은 ‘아름다운 기억’과 ‘빠듯한 현실’을 남긴 이벤트가 됐다.

가까운 일본에서도 올림픽 후유증을 찾아볼 수 있다.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때 일본은 190억 달러를 투입해 새로운 경기장 시설을 확충했다. 일본선수들의 선전이 국민을 한데 모으고, ‘아시아 유일 동계올림픽 2회 개최국’이라는 타이틀이 일본의 국가 브랜드를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왔지만, 경제는 참담했다.

올림픽 이후 각종 관련 설비의 유지비용이 나가노 지역의 경기부진으로 이어지며 제조업 경기가 30% 급감했다. 올림픽 다음해에 나가노 지역에서만 211건의 기록적인 기업 도산이 이뤄졌을 정도다.

올림픽 뿐만 아니다. 미국 일리노이 레이크 포레스트 대학의 빅터 매터슨 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94년 미국 월드컵이 치러진 9개 도시 가운데 6개도시가 올림픽 이후 평상시에 크게 못미치는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축구 불모지인 미국에 일거에 과도한 관련 투자가 이뤄지면서 그 효과가 돈들인 만큼 나타나지 못했다는 의미다.

영국 왕실대학의 연구에서도 지난 30년동안의 월드컵 유치국들은 평균적으로 그해에 경제가 1% 가량 위축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재정 투입 못지않게 올림픽 유치로 새로운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일도 급선무다.

국내적으로는 동계올림픽 유치로 인한 경제적 효과의 지속을 위해 스포츠 산업에의 중점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 관련 내수 산업의 육성등도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