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비만 오면 먹통…신호등 시스템 바뀐다
무정전 전원장치 도입 추진
폭우, 정전에 ‘먹통’이 돼 꺼져버리는 신호등에 대해 경찰과 도로교통공단이 개선책 마련에 나섰다.

9일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이들은 순환정전, 폭우등으로 인해 전원이 차단돼 ‘먹통’이 되는 신호등의 개선을 위해 신호등에 무정전 전원장치(UPS)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도로교통공단은 지난해 10월께 경찰청에서 무정전 신호등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했다. 공단은 이에 따라 3개월간의 개발을 거쳐 최근 무정전 전원장치에 연결한 신호등 시제품을 개발 완료했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현재 2시간 동안의 정전상태를 버틸 수 있는 무정전 신호등을 개발 완료했다”며 “금주 중으로 서울경찰청의 협조를 얻어 시범사업을 시작하며 2월 한 달간 시범 가동후 확대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무정전 신호등 설치와 관련 가장 큰 문제는 예산이다. 2시간 동안 전기 없이 작동하는 무정전 신호등을 만들 경우 1개당 200만~5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된다. 전국에 동시 설치 시 전국 교차로 5만개 중 10분의 1인 5000개만 설치한다 해도 25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는 셈이다. 게다가 배터리 수명이 2년 정도 밖에 안돼 2년마다 이를 교체하는 예산도 만만찮다

경찰청 관계자는 “지난해처럼 동시에 정전되는 사태가 얼마나 자주 일어날지가 문제다. 지난 수십 년간 없던 일이 지난해 두 번 연속으로 발생하면서 연구했지만 국회에서 예산을 타지 못했다”며 “전국적인 시행은 국회에서 예산을 배정한 후에나 가능할 것”이라 말했다. 경찰과 공단측은 예산과 관련, 배터리 용량을 줄이면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보고 향후 국회 예산 배정에 따라 용량조정 등을 통해 사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안효대 의원(한나라당)이 지난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9월 15일, 순환정전으로 불이 나간 신호등은 총 2877개로 집계됐다.

<김재현 기자> / mad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