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SNS를 통한 소통’을 주문하자 장·차관들이 앞장서 SNS 강화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기밀 사항에 민감한 외교·안보라인의 경우 기밀이 흘러나갈 수도 있다는 우려를 드러내는 공무원들도 적지 않다.
이 대통령은 지난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장차관 합동 워크숍 마무리 발언에서 “SNS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기에 장·차관이 직접 국민과 소통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각 부서에서 담당하는 직원이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선과 대선으로 이어지는 선거 국면에서 유독 SNS 상에선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의견과 목소리들이 높다는 점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우리가 하는 정책이 실제 바닥까지 알려지려며 일선 윗선에서 잘해야 한다”고 독려했다.
이 대통령의 이같은 주문이 있자 김관진(@kwanjinkim) 국방부 장관은 지난 17일 자신의 트위터 사용담을 기자들에게 소개했다. 김 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개인적으로 메시지를 보내오는 사람이 많다”며 “예전 같았으면 하지 못했을 얘기들이지만 이제는 가까운 삼촌한테 하듯 트위터를 통해 직접 말한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의 팔로워 수는 8800여명이다.
외교통상부 민동석(@dsmin791) 2차관 역시 트위터 강자로 꼽히는 인물이다. 그의 팔로워 수는 2만3000여명. 어지간한 연예인 못지 않은 수의 팔로워 수를 기록하며 그는 개인적인 의견이나 마음에 드는 기사를 링크하는데 주저 없다.
이 외에도 외교부는 지난 12일 정부부처로선 처음으로 올해 장관과의 신년 대담을 페이스북과 라이브스트림을 통해 생중계를 하면서 관심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외교부의 이같은 SNS 강화 노력에 대해 워크숍에서 칭찬을 했다는 후문도 들려온다.
그러나 일선 공무원들은 우려를 나타낸다. 한 과장급 공무원은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관리하려면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것이 사실”이라며 “높으신분들이야 괜찮으시겠지만 모두에게 적용하긴 힘들다”고 지적했다.
외교·안보 쪽 공무원들의 거부 반응은 좀 더 세다. 실제로 외교부 한 국장급 인사는 지난해 말 대통령과 함께했던 자리에서 찍었던 사진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려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의 일정과 대통령이 어떤 곳에 머물렀는지 등은 보안에 관련된 사항”이라며 “어느 위치에 경호원이 서고, 공간 구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등 역시 모두 보안사항이다. 부적절했다”고 지적했다.
<홍석희 기자 @zizek88>
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