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중소기업의 임금수준이 대기업의 63%에 그쳤다.
대기업 직원이 평균 1만원을 받을 때, 중소기업 직원은 6300원 받는데 그쳤다는 것.
무엇보다 지난 10년 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부분이 문제다.
6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규모별 임금총액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1∼11월) 중소기업(5∼299인) 상용직 근로자의 월 평균임금은 263만 8000원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300인 이상 대기업 상용직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월 417만 5000원으로, 대기업을 100으로 봤을 때 중소기업의 상대임금 수준은 63.2로 집계됐다.
특히 대ㆍ중소기업의 상대 임금수준 격차는 2000년대 들어 계속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0년 중소기업 상용직 근로자 평균임금은 153만원, 대기업은 214만 7000원으로 상대임금 수준은 71.3이었다.
2001년 70.9였던 상대임금 수준은 2002년 67.5로 70 아래로 떨어진 뒤 2003년 65.8, 2004년 64, 2005년 64.3, 2006년 65.4, 2007년 64.8, 2008년 63.6, 2009년 65,2010년 62.9 등으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만 해도 대기업의 70% 수준이던 중소기업의 임금이 최근에는 60% 초반대로 떨어진 셈으로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삶의 질이 그만큼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최근 우리 경제의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 감소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낙수효과란 대기업 수출이 호황을 보이면 국내 투자와 고용이 확대되고 중소기업에 대한 하청 발주도 늘어나는 등 그 효과가 국내 경제 전반에 골고루 퍼지는 것을 말한다.
다만 대기업의 발주 등이 줄고 해외로 공장 등을 옮기면서 중소기업 역시 지난 10년 동안 내리막길을 걸었고, 노동자들의 임근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윤상하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대, 중소기업 임금격차 확대는 대기업 집단의 실적은 수출 호조 등으로 계속 활황을 보이고 있지만 중소기업이나 내수에까지 그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박도제 기자/pdj24@heraldcorp.com